잘 모르던 아이 라임 청소년 문학 59
은이결 지음 / 라임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내 마음, 나도 잘 모르겠어

 

첫눈에 꽂힌 중학교 후배를 집요하게 따라다니는

지애의 아슬아슬한 애정 공세! _〈스토커〉

 

가정불화 속에 방치된 채 불안과 씨름하는 유경에게

들리는 묘한 소리의 정체는? _〈한 소리가 있어〉

 

로맨스 웹툰의 주인공은커녕 첫사랑 강제 종결에 이어

절친의 어마어마한 비밀까지 떠안게 된 자영의 얼얼한 겨울날. _〈너의 시작〉

 

엄마에게 떠밀려 머물게 된 아빠의 집, 해진은 속도 없이

자꾸만 엉겨 붙는 의붓 여동생의 뻔뻔한 제안에 휘말리고 마는데……. _〈동생년〉

 

훌쩍 떠난 여행길에서 중학교 동급생이었던 K와 스치듯 만나,

봉인해 둔 기억을 떠올리는 이진의 시간 여행! _〈잘 모르던 아이〉

 

가끔은 힘내지 않아도 괜찮다고,

지금 그대로도 충분하다는 말을 건네는 다섯 빛깔 이야기

 

 

잘 모르던 아이

 

 

저자 은이결 / 출판 라임

출간 2022.08.31.

 

 

성장.

아이를 키우다보니 성장이라는 단어가 와 닿는다. 

아이들이 성장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몸 만큼이나 생각하는 것들도 많이 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자신의 색깔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이 든다. 

 

***

자신만의 빛깔 찾기와 관계 맺기를 고민하는 성장의 문턱을 그리다!

MZ 세대의 특징 중 하나가 바로 MBTI, 즉 성격 유형 검사에 진심이라는 점이다. 

한국리서치에 따르면 젊은 세대일수록 MBTI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으며, 그 결과를 신뢰한다고 한다. 

MZ 세대에게는 MBTI가 단순히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가벼운 테스트가 아니라 자기소개의 수단이나 마찬가지인 것이다. 

이러한 열풍은 타인과의 관계 맺기나 채용 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물론 검사의 결과를 맹신하거나 특정 유형을 일반화해 배제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지만, 

그래도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는 수단으로서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는 게 사실이다.

 이렇듯 시대에 따라 유행하는 방법은 달라도 자아를 탐구하고자 하는 열풍은 시들지 않고 있다. 

우리는 자신과 타인이 언제나 궁금하며, 서로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인 동물이기 때문이리라. 

***

 


 

 

무엇보다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자신만의 색을 찾아가는 다양한 등장인물로

나를 돌아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나이가 어느새 중년을 지나가고 있는데

아직도 나의 색을 찾지 못하는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어쩌면 이 책이 나에게 더욱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다. 

 

***

《#구멍》으로 성장의 변곡점을 지나는 청소년들의 숨 가쁜 현실을 사려 깊은 문장으로 형상화한 바 있는 은이결 작가가 

이번에는 단편 소설집 《잘 모르던 아이》로 돌아왔다.

사람이든 물건이든 한번 꽂히면 뜨겁고 집요하게 쫓는 것밖에 모르는 

지애의 일방적인 애정 공세로 인해 벌어진 아슬아슬한 추격전과 반전 결말을 담은 〈스토커〉, 

가정불화로 모두가 떠나기만 하는 집에 남겨진 막막함과 불안함에 시달리던 유경에게 찾아온 환청의 정체를 밝히는 〈한 소리가 있어〉,

 짝사랑으로 끝난 첫사랑에 억울해할 새도 없이 

절친 민규의 어마어마한 고백에 명치를 얻어맞은 자영의 험난한 성장통을 다룬 〈너의 시작〉, 

부모님의 이혼과 재혼으로 재편된 가계도에 한 발씩 걸쳐 둔 채 나쁜 딸이자 철없는

 아이로 몰린 해진이 의붓 여동생의 뻔뻔한 계획에 휘말리는 과정을 그린 〈동생년〉, 

그리고 엄청난 무게가 실린 비밀을 덥석 안긴 중학교 동급생 K와 우연히 스치는 바람에 

봉인된 자신의 비밀과 직면하게 된 이진의 이야기를 그린 표제작 〈잘 모르던 아이〉까지……. 

작가는 나와 타인을 제대로 이해하고자 하는 욕망과 ‘우리가 될 수 있을까?’ 하는 관계 맺기에 대한 고민을 

다섯 편의 이야기 속에 담아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