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의 이유 있는 가출 - 망가진 명태 고향 살리기 프로젝트 우리 땅 우리 생명 7
이성엽 지음, 정은선 그림, 변순규(국립수산과학원) 도움글 / 파란자전거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집 나간 명태를 찾습니다!

 

모두의 행복을 위해 사라진 명태의 진실을 찾아 나선

어린이 명태 수색대의 좌충우돌 고군분투기

 

국민 생선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름을 가졌다는 바다 생물 명태!

어느 날, 명태가 동해에서 감쪽같이 사라졌다는데…

아빠 때문이라는 누명을 벗기려는 민수, 친구와 헤어지기 싫은 미현

활기 찬 마을을 되찾고 싶은 태인, 부자가 되고 싶은 일수.

이유는 제각각이지만, 목표는 한 가지!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해 명태를 꼭 찾아야만 하는

명태 수색대가 동해 앞바다에 떴다!

 

 

 

명태의 이유 있는 가출

 

 

작가 이성엽

그림 정은선

출판 파란자전거

출간 2022.08.25.

 

단순히 생선의 한 종류인줄 알았던 명태. 

알고보니 명태에 다양한 사연이 있었네!

그동안 정확히 몰랐던 명태에 대해

재미있게 알아가는 시간!

 

***

명태 없으면 오징어, 오징어 없으면 그다음은?

‘맛있기로는 청어, 많이 먹기로는 명태’라는 말이 있고, ‘서해 참조기, 남해 멸치, 동해 명태’라는 말이 있다. 

이렇듯 명태는 한국 사람에게 오랫동안 사랑받아 왔고, 많이 먹어 왔고, 많이 잡았던 생선 중 하나다. 

명태는 한국 사람의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잡히는 시기, 잡는 지역과 방법, 가공 형태 등에 따라 60여 가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봄에 잡히면 춘태, 동짓날 함경도 바다로 몰려드는 명태 떼를 뜻하는 동지받이,

 강원도 간성 앞바다에서 잡은 것은 간태, 그물로 잡으면 망태, 크기가 큰 왜태, 새끼 명태는 노가리, 꽁꽁 얼리면 동태,

 말린 명태를 뜻하는 북어, 겨울철 얼리고 녹이길 반복해 빛깔이 누런색을 띠는 황태, 

황태와 달리 거무스레하게 말린 먹태 등 한국 동해에서 잡히는 명태처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생선은 세계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이런 국민 생선 명태가 1980년대까지는 개도 안 물어간다고 할 만큼 넘쳐나더니 2000년대 들어서는 아예 자취를 감추었다. 

결국 정부는 2019년 명태 포획을 전면 금지했다.

***

 


 

 

사라진 명태를로 위기를 맞은 마을에 

수색대가 뜨는 에피소드를 다룬 책이다. 

 

단순히 명태를 찾는 내용 뿐 아니라

생태계와 지연보호까지 알아가는 꽤 괜찮은 책이다. 

이제는 무자비한 포획보다는

함께 살아가는 마음을 알아갈 수 있는 착한 책이다. 

***

 

사라진 명태, 위기에 처한 항구 마을에

어린이 명태 수색대가 떴다!

인간의 지나친 욕심 때문에 한반도에서 사라진 동물, 곤충, 씨앗, 식물 등 안타까운 생명에 관한 가슴 아픈 이야기, 이들이 보내는 생태계의 적색경보와 위기에 처한 인간과 지구에 대해 생각하고 새롭게 써 내려갈 우리의 미래를 그려 보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기획된 〈우리 땅 우리 생명〉 시리즈는 인간의 이기심과 잘못된 판단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또는 멸종되어 버린 이 땅의 생물이 사라진 순간을 돌아보고, 그들을 되살려내기 위한 수많은 노력을 접함으로써 바로 지금, 환경에 대한 근본적이고 전 지구적 사고가 필요한 때임을 강조한다.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생물에 대한 관심이 바로 그 생물을 살리고, 그 생명의 서식지를 살리고, 인간과 지구를 살리는 첫걸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사라져가는 생태를 그냥 두지 않는 적극성과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인간의 노력이 

유쾌하게 그려진 동화책 <명태의 이유 있는 가출>.

 

“끝없이 잡힐 것 같던 명태는 어느 날 갑자기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그 이유는 모두가 알고 있지만 아무도 말하지 않았다. 

눈앞의 이익을 위해 비석바위의 변신 뒤에 숨겨진 환경 파괴를 모른 척하듯, 명태를 잡기만 했지 명태를 살릴 생각은 하지 않았다. 

비석바위를 잃어버린 오늘, 우리는 무엇을 기준으로 바닷길을 찾을지 생각해 봐야 한다.

 집 나간 명태가 돌아오길 바라며 이렇게 숨겼던 이야기를 끄집어낸다.”

 

***

집 나간 명태를 찾습니다!

한마을에 사는 민수, 미현, 태인은 겨울이면 장대 낚시로 고깃배에서 떨어지는 물고기를 줍는 게 유일한 낙이다. 

하지만 날이 갈수록 물고기는 잡히지 않고 사람들은 하나둘 마을을 떠나간다.

 어부들은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풍어제를 올리지만, 

민수 아빠가 고래를 잡고도 고랫값을 내지 않아 명태가 잡히지 않는다는 누명만 쓰고 싱겁게 끝나 버린다. 

앙숙인 일수가 집요하게 민수를 놀려대고 다른 아이들도 민수를 원망하자 민수와 미현, 태인은 명태가 사라진 진짜 원인을 찾기로 한다.

어린 명태를 마구잡이로 잡았다는 사실과 썩지 않는 나일론 그물을 바다에 마구 버렸기 때문이라는 말을 듣지만 확신이 없다. 

우연히 어판장에서 살아 있는 명태를 찾는다는 포스터를 보고 

수산자원센터를 찾아간 세 아이는 살아 있는 명태를 잡으면 명태를 되살릴 수 있다는 말에 희망을 품는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