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2 100명 중 98명이 틀리는 한글 맞춤법 2
김남미 지음 / 나무의철학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쓰다보면 꼭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다. 그리고 그 단어들은 다음번에도 그 다음번에도 또 헷갈린다. 요즘은 인터넷이 발달되어 그 때마다 검색을 해 볼 수는 있지만 이런 단어들을 내 나름대로 정리를 해서 머릿속에 꼭 박아두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만나게 된 책이 이 책이다. 한 번만 정리해두고 익히면 계속 쓰는 말들이라 잘 정리가 될 것 같았고 많이 틀리는 맞춤법이 잘 정리되어있어서 나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 고르게 되었다.

 

1장은 맞춤법 달인이 되기 위한 길라잡이로 시작된다.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 나는 대로 쓰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학창시절에는 이것부터 시작해서 단어들도 모두 외우느라 진땀을 흘리곤 했는데 어른이 되고 나니 잘 생각도 나지 않고 우리말이 쓰면 쓸수록 알면 알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일단 맞춤법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음운 현상을 공부해야 한다. 대부분 사람들이 골치 아픈 것이라고 생각하기 마련이지만 규칙을 제대로 알면 쉽다고 한다. 이 현상은 음절의 마지막에만 적용되는 현상이고, 언제나 예외 없이 일어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그런 다음 연음 법칙, 두음 법칙이 나오고 마지막의 활음 화까지 설명하고 1장은 마무리 된다.

 

2장에서는 쓸수록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이 나오는데 우리는 맞춤법을 많이 틀리는 것이 아니라 자주 틀리는 것만 틀리기 때문에 그리고 자주 틀리는 맞춤법은 나만 틀리는 것이 아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려워하는 점이기 때문에 원리에 접근하겠다는 태도와 나에게만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자신감을 가지고 배워야 하겠다. 언어는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현재의 질서이고 과거의 흔적으로 남은 것들은 이해하면서도 특수성은 인정해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끊임없이 배워야하고 변화에 적응해가야 하는 것이 언어인 것 같다. 흔한 텔레비전 vs 텔레비전 은 우리가 하루에도 몇 번씩 말하고 있는 단어이기는 하지만 막상 쓰라고 하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이다. 정답은 텔레비전이다. 알고 나면 쉬워 보이지만 또 시간이 지나 누군가 묻는다면 바로 대답이 나오기는 힘든 맞춤법이다. 근데 이 책에서는 맞는 단어만 외우라고 하는 게 아니라 그 원리를 소개해주니 머릿속에 조금 오래 기억할 수 있을 것 같다.

 

3의미에 따라 달라지는 우리말에서는 요즘 젊은 사람들이 많이 쓰는 이라는 단어에 대해 살펴본다. 이 단어는 아이들이 즐거울 때나 슬플 때나 좋을 때나 싫을 때나 단순화해서 사용하는 단어다. 어떤 단어를 써서 말해야 할지 생각하지도 않고 단순히 한 마디로 끝내버리는 모습은 좋지 않아 보일 때가 많다. 이렇게 이 장에서는 비슷하지만 의미를 구별해야 하는 말들과 복잡해보이지만 더 정확히 표현해야 하는 단어의 힘에 대해서 알려준다.

 

4장에서는 단어가 결정하는 띄어쓰기인데 나도 글을 쓰면서 가장 어려운 것이 띄어쓰기 부분이다. 매번 누군가에게 물어볼 수 도 없고 글을 쓸 때마다 애를 먹는 부분이다. 여기서는 단어는 띄어 쓴다는 원칙으로 설명하면서 어려운 이유는 단어가 쉬운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띄어쓰기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1) 자신이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가 무엇인지 알기 2) 띄어쓰기 유형을 묶어서 생각하기 3)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애쓰기 4) 소소하고 이상하고 중요하지 않은 것은 무시하기 이다. 이런 법칙으로 문장을 예로 들며 띄어쓰기에 대한 쉬운 접근 방법을 설명해 준다. 설명을 읽고 나니 나도 앞으로는 이런 방식으로 접근해서 나만의 띄어쓰기 법칙을 세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외에도 우리가 많이 틀리는 단어나 문장을 통해 여기에 소개된 단어, 문장만큼은 다시는 헷갈리거나 틀리는 일이 없도록 저자만의 방식으로 우리들의 머릿속에 콕콕 박히는 설명을 해주었다. 요즘은 영어의 열풍이 불어 어려서부터 영어 교육에 혈안이 되어있지만 대한민국 국민으로 태어나 우리말 사랑을 먼저 가르치고 나부터도 우리말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사랑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