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에게 필요한 일곱 명의 심리학 친구 - 얕고 넓은 관계 속에서 진짜 내 편을 찾고 싶은 딸들을 위한 심리학
이정현 지음 / 센추리원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당신이 좋은 사람보다 행복한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어.” 책을 들어가기 전 저자가 책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나온 문장이다. 이 말을 들으니 조금 슬픈 생각마저 들게 된다. 나 역시 이렇게 세상을 아등바등 살아온 것이 다른 사람들의 눈에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 이렇게 살아온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 때문이다. 그렇다. 다른 사람의 눈에 좋은 사람이 되기보다 나 자신의 기준에서 행복한 사람이 되는 것이 진정한 나의 인생을 사는 방법일 것이다. 나 자신을 더욱 지키는 힘을 기르기 위해 이 책에서는 7명의 심리학 친구를 소개해준다.

 

첫 번째는 엄마이다. 엄마와 딸의 관계는 오묘하고 예측 불허라고 한다. 엄마는 딸에게 세상에 나아가는 관문이고 절대적인 롤 모델이 된다. 그래서 옛 말에도 결혼할 여자를 결정하기 전에 장모님을 먼저 만나보라는 말이 있다. 장모님의 모습은 즉 아내의 미래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더욱 엄마와 딸과의 관계는 중요하다. 엄마와 딸의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엄마의 어린 시절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이해하는 것이 좋다. 엄마에게도 아픔도 있었을 것이고 힘듦도 있었을 것이다. 그것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고 우리 엄마는 도대체 왜 이러는 걸까?’ 라는 물음 대신 , 우리 엄마에게도 슬픔이 있었겠구나.’ 라고 엄마를 이해할 수 있는 딸이 되어야겠다. 두 번째는 독립이다. 누구나 독립된 자유로운 삶을 원한다. 하지만 자유를 만끽하기 위해선 본인이 포기해야할 것들도 있다. 따뜻한 엄마의 집 밥과 반찬들, 정리된 옷, 각종 통신비 등등. 이런 것들이 평소에는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느껴져도 내가 직접 하려고 하면 시간도 걸리고 돈도 꽤 드는 일들이다. 냉정한 이야기지만 세상에 공짜는 없는 것이다. 그동안 부모님의 온실 속에서 너무 세상 걱정 없이 살아왔던 나도 자취를 시작하고 보니 부모님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이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혼자서 잘 사는 연습을 해야 결혼해서도 잘 살 수 있다. 저자는 자아 건강을 위해서라도 부모님을 떠나는 일을 미루지 않길 바란다고 한다. 어릴 때는 내 나이가 되면 다 어른이 되는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나이만 먹는다고 모두 어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일에 책임을 질 수 있어야 진짜 어른이 되는 것이었다. 세 번째는 일인데 여기서는 자신이 왜 일하는지에 대한 답을 먼저 스스로 찾아야 한다. 좋아하는 일과 잘하는 일에 대한 고민이 많은데 어떤 일을 정해서 해야 할 지는 스스로 찾고 깨닫는 것이 어떤 일을 시작하더라도 쉽게 포기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네 번째는 스타일이다. 여기서는 여자들이 평생 해야 하는 숙제 다이어트와 요즘은 어린나이에서부터 할머니까지 누구나 다 한다는 성형수술까지 모든 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소개해준다. 그리고 마지막엔 동화에서 주는 강령한 메시지로 마무리를 맺는다. 사랑받고 싶으면 먼저 사랑하라는 것이다. 그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을 말이다. 다음 챕터는 진짜 친구 편이다. 이 챕터에서는 아무리 친했던 친구였더라도 관계가 소원해지거나 시간이 지날수록 우정이 변할 수도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친구라 생각될 지라도 더 자주 연락하고 관심을 갖고 배려하며 좋은 친구관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겠다. 여섯 번째는 감전이다. 이 편에서 공감이 갔던 부분은 우리나라 장례절차에서의 모순이었다. 누군가가 돌아가시면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슬픔이 찾아오는데 울 시간도 없이 바로 장례절차를 치르게 되면서 음식을 정해야하고 장례식장을 정해야 하고 손님맞이를 하고 또 주변의 가족들을 위로하다보면 일주일이 가고 바로 또 출근을 해야 하므로 정작 울 시간이 없다는 것이 맞는 말이었다. 이렇게 슬픈 감정이 억눌리다 보면 가끔 이유도 없이 왈칵 눈물이 쏟아질 때도 있다. 이럴 때일수록 안전한 진짜 감정에 충실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 챕터는 나 자신에 관한 이야기다. 여기서는 사람들에게 상처받는 것에 대해 어떤 경우에도 나를 보호하는 것이 우선이고 가끔은 이기적일 필요도 있다고 조언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잘 못하는 것이 거절인데 나부터도 누군가의 부탁을 거절하는 일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누군가의 눈치를 보면서 살아갈 필요는 없다. 내 인생은 나답게 사는 것이 정답이기 때문이다. 내 삶이 항상 불안한 이유는 정확한 목표와 계획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더 불안한 사람들은 사주를 보기도 하고 또 그 사주의 말에 따라 어리석은 행동을 하기도 한다. 내 인생을 만들어가는 이 순간에도 내가 선택하는 것이다. 그 선택에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 글을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