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산은 없다 - 2008 대표 에세이
김서령 외 41인 지음 / 에세이스트사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약산은 없다 / 김서령외 41인 / 에세이스트사.

 

 

 

  대표적인 수필집 에세이스트사에서 2008 대표에세이집을 냈다. 유명한 작가들의 작품도 함께할 수 있었다. 요즘같이 경제가 어려울 수록 사람들은 경제서와 같은 재테크 책이나 자기계발 책을 많이 찾게 된다. 나 또한 일주일에 한 권씩 자기계발서를 읽으면서 목표를 다지고 의지를 다시한번 높이는 편이다. 학생때는 문학서적을 읽는 것만으로도 행복했는데 어른이 되어버린 지금은 문학서를 읽는 시간이 안난다는 그럴듯한 핑계로 문학에 가까이 하지 않게된다.  하지만 그럴수록 문학작품에 관한 목마름은 커져온다. 특히 소설보다는 수필에 나는 애착이 간다. 우리의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이야기를 작가만의 독특한 느낌으로 풀어내려가는 수필은 나에게 우물같은 존재다. 경제서와 자기계발서에 지칠 때 일상 속 이야기를 만나면서 또 다른 힘을 얻는다. 사람이 사람 이야기로 살아가야지 어려운 공식이나 우리말이 아닌 이야기는 우리에게 힘을 주는데 한계가 있나보다.

  나에게 힘을 주는 수필이 41인의 작가를 통해 다가왔다. 좋아하는 김서령 작가의 약산은 없다를 필두로 여기저기서 들어봤던 유명 수필가들과 함께 처음 만났지만 신선하게 다가온 작가들도 꽤있었다. 수필 작품이 41개가 모여있어서였을까. 처음에는 작품 하나하나를 살피지 않고, 수필로 몽땅 치부해버렸다. 그렇지만 읽으면 읽을 수록 한 작품씩 다가오는 그 느낌은 애인을 만날 때마다 느끼는 설렘과 같았다. 어떤 말로 표현해도 내 마음을 설레게 하는 작품들이다.

  같은 소재로도 다른 느낌을 표현하는 작품도 있었다. 눈 속에 날파리 한마리 키우면서 옛이야기를 추억하는 정태헌 작가의 마음 속에는 주렁주렁 주황빛 감이 매달린 감나무 한 그루가 있었고, 감을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과일이라 여기는 정희승 작가의 감 예찬도 있었다. 같은 감을 보고 다른 이야기를 풀어가는 작가들의 이야기는 나에게도 '감'을 생각나게 한다. 작가의 감나무 속에서 나 또한 어린 시절 아버지와 함께 따던 감나무가 생각나고 감을 따며 먹던 홍시가 생각나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과일은 무엇일까 생각에 잠기기도 한다.

  자기계발서가 우리에게 의지를 다지게 하고 목표를 다시 세우게 한다면 수필은 그러한 의지를 다지게 하는 요소를 끄집어 내준다고 생각한다. 내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사랑과 일과 가족과 친구와 같은 사람과 사람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목표가 생기고 새로운 용기가 생기기 마련이다. 그러한 사람의 관계를 새롭게 일깨워주고 느끼게 해주는 것이 바로 수필인것 같다. 작가들의 이야기 속에서 잊었던 나의 옛 이야기를 추억하며 잊었던 나의 사람들을 깨달으며 다시 사랑하고 다시 용기를 가지며 다시 일어설 수 있게한다.

  매일 한편씩 읽는 수필 하나가 오늘도 나에게 힘을 준다. '마음이 머물렀던 자리에 향기인 듯 여운인 듯 쏟아져 내리는 마른 꽃잎'이라는 전민 작가의 표현 처럼 나 또한 수필에 마음이 머물러서 향기인지 여운인지 구분할 수 없을 만큼 마음의 꽃잎이 한없이 쏟아져내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