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의 위엄 - 상 민들레 왕조 연대기 1
켄 리우 지음, 장성주 옮김 / 황금가지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흡인력이 상당한 책입니다.

초한지에 근거한 동양사에 더하여 스타워즈의 미래전쟁이 붙고, 권모술수가 난무하는 하우스 오브 카드의 인간사가 버무려진 SF/판타지 문학상의 트리플 위너 켄 리우의 작품입니다.

  1,000년간 이어져오던 다라 제도 7국의 평화는 자나 국의 영웅 마피데레 황제의 무자비한 침범에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6국은 마침내 치욕스런 속국으로 전락하게 됩니다.

그러나 영원할 것 같았던 자나 국의 영화는 마피데레 황제의 사후 어린황제의 등극과 섭정체제하 신하들의 반목으로 동요하게 되고, 이 틈을 타 우후죽순으로 나타난 각 국의 영웅들이 ‘타도 자나’를 기치로 할거하게 되면서, 자나와 6국간의 물고 물리는 전쟁, 각국 간의 미묘한 갈등이 <민들레 왕조 연대기 1편-제왕의 위엄(상권)>의 줄거리를 이룹니다,

  전개를 이끌어가는 영웅 중엔 특히 코크루 국의 ‘쿠니 가루’와 ‘마타 진두’ 그리고 하안 국의 ‘루안 지아’가 돋보이는 데 각각의 캐릭터는 유연하고 소탈함, 높은 자존심과 엄격함, 기술에 정통한 치밀한 지략으로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습니다. 초한지의 유방, 항우, 한신의 현신입니다. 그렇기에 등장인물의 캐릭터로 초한지의 인물을 유추하는 - 예를 들어 마피데레=진시황, 뮌 시크리=번쾌 - 작업은 이 책의 숨은 묘미입니다.

  같은 문화권이라서 일까요? <베오울프>나 <황금 나침반> 등의 서양신화에 근거한 판타지 문학에 비해 이 책의 가독성은 월등합니다.

퓰리처나 공쿠르, 맨부커 상 수상작보다 나오키나 일본서점대상의 이력이 있는 책들이 더 환영받는 이유를 알겠습니다.

  그러나 코즈모폴리턴으로서 인류 공통의 보편성에 호소하는 저자의 노력도 자주 눈에 띄입니다. 평화로운 7국의 정립 상태를 묘사한 다소 장황한 페이지에서 중앙집권보다는 자율속의 책임에 기반을 둔 민주주의를 옹호하고, 여성을 빗대 적을 공격하는 아군의 행태를 조목조목 반박하는 쿠니 가루를 통해 저는 여성에 대한 기존의 시각을 비판하는 저자의 메시지를 읽었습니다.

판타지 문학도 저자의 역량에 따라 충분히 울림 있는 장르일 수 있음을 여기서 목격하며, 더불어 켄 리우의 포스를 느낍니다.

개 인적으론 페이지가 많이 할당되는 위의 3인보다는 굴 따는 어린 소년이 얼떨결에 지주 국의 왕이 되었지만, 제국군의 칼날 아래 백성을 위해 분연히 죽음으로 맞선 지주 국의 어린 왕이 마음이 갑니다.

물론 경국지색의 미녀인 아무 국의 키코미 공주의 안타까운 요절은 상당히 아쉽구요!

  앞서 책의 가독성이 동일 문화권에 연유한 바가 크다 단언했지만, 상당부분 유려한 번역과 책 뒷장, 다라 제도의 지도와 등장인물 소개를 삽입해 놓은 출판사의 배려도 칭찬받아 마땅합니다. 지도를 펴두고 왔다갔다 읽다 보면 내용에 현실감이 더해진다는 먼저 읽은 이의 tip을 전합니다.

곱 씹을 만한 좋은 문장도 책은 많이 저장하고 있습니다.

저는 “ 불화는 말이지, 집의 토대를 갉아먹는 흰개미 같은 거야. 다 함께 무너지지 않으려면 반드시 뿌리 뽑아야 할 전염병이지.”란 문장이 좋았습니다.

 쿠니 가루는 거만 떨지 않고, 실용적이면서도, 희생적이고, 흙에 뿌리를 박고 살면서 하늘을 꿈꾸는 민들레가 사랑스럽답니다.

최후의 승자를 암시하는 복선이겠죠!

그러나 자세를 표현하는 ‘게위파’, ‘미파 라리’ 등의 단어가 계속 등장하는 연유는 지금 이 순간까지도 제 머리를 아프게 하는 군요…….

아무래도 하권을 주문해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