닿고 싶다는 말 - 공허한 마음에 관한 관찰보고서
전새벽 지음 / 김영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새벽 <닿고 싶다는 말>

김영사

/

사람은 얼마나 불안정하며 완벽하지 못한 생물인지 절절히 깨달을 때가 있다. 예전에는 그것이 불편하다고 생각했고, 이젠 그 결핍으로써 인간이 완성된다고 생각한다. 생각의 변화에 큰 계기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결핍을 받아들이고 난 뒤에 세상을 보는 눈이 바뀌었고, 나와 비슷한 방식으로 세상을 보는 사람들을 깨닫게 되었다.

-   (…) 나는 닿고 싶다는 말을 하는 중이었다. (194쪽)

/

하지만 인간 자체가 결핍을 가지고 있음을 알면서도, 자신의 결핍을 고백하는 일은 어렵다. 정신병 같은 건 의지의 문제라고 치부하던 한국의 정서를 떠올려보면 애초에 불가능한 일처럼 보이기도 한다. 느리게나마 바뀌어가는 의식의 가운데 작가는 자신의 내밀한 경험을 말한다. 독자는 작가의 내밀한 경험 속을 유영한 뒤 책을 덮을 때, 비로소 자신의 안을 들여다 볼 마음을 가지게 된다. 작가가 그러했던 것처럼, 독자도 스스로의 마음에 노크를 하고, 문을 열고, 무엇이 튀어나올지 모르는 암흑 속을 헤치고 나아가 볼 의욕 정도는 생기는 것이다.

/

혼자서는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끊임없이 공생의 방법을 연구한다. 인간과 다른 종의 조화뿐만 아니라, 인간과 다른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도 그렇다. 서로의 결핍은 서로가 채워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확신은 없지만, 우리는 언제나 불확실하고도 셀 수 없는 확률 속에서 서로의 손을 잡아 왔다.

-   인생은 살 만하다. 그러나 이 같은 결론을 내기 위해 우리는 무수한 노력을 해야 한다. 그 중 하나는 닿고 싶다는 말을 하는 것이다. (225쪽)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되었습니다.


#김영사 #전새벽 #닿고싶다는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