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메이커스, 인공지능 전쟁의 최전선
케이드 메츠 지음, 노보경 옮김 / 김영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케이드 메츠, <AI 메이커스, 인공지능 전쟁의 최전선>

김영사
/
글을 쓰고, 보는 입장에서는 최근 들어 비인간(이것이 너무나도 인간 중심적인 표현이지만)을 주인공으로 한 글이 많아진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것은 문학계에서 SF장르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도 물론 있겠지만, 동시에 우리 삶에서 로봇, 인공지능, AI 등의 존재를 직접 느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 크다.
그러한 현상 한가운데 서 있는 우리에게 <AI 메이커스>는 많은 것을 ‘알게’ 해준다. 딥러닝의 시초부터 담고 있는 책은 우리가 나아갈 길에 대해 알려주려 하는 듯했다. 물론 수많은 경우의 수 중에서 정답을 골라내는 것은 AI여도 쉽지 않겠지만.
/
전치형 작가의 책 <로봇의 자리>(2021.09, 이음 출판사)에서 쓰인 다음과 같은 문장이 나로 하여금 공감하게 만들었다. ‘(…) 대신 로봇은 우리 자신을 비춰보는 거울 정도는 될 수 있다.’
어째서 인간이 만들어낸 창작물에서 인공지능, 로봇 등은 두려움의 존재가 되어 있는 것일까? 이세돌 9단이 알파고와의 대국에서 진 사건이 우리 사회에 불러일으킨 여파가 아직도 생생하게 떠오른다. 책에서도 다음과 같은 언급이 있었다
- (…) 역시 안타까움을 느꼈다고 밝혔다. 이세돌이 한국인이어서가 아니라 인간이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다. (266쪽)
인간이 떠올리는 외계인의 모습이 흔히 인간형의 모습인 것, 안드로이드와 로봇들이 팔다리를 가진 채 이족보행을 하는 것, 인간이 되고싶어 고군분투하는 영화 속의 로봇들. 인간이 만들어낸 로봇은 인간에 가깝고 그것은, 설령 의도치 않았을지라도, 인간을 비춰보는 거울이 되고 만다. 알파고가 ‘인간이라면 선택하지 않았을 수’를 둬서 이세돌 9단을 이긴 것처럼, 이후의 대국에서 이세돌 9단 또한 ‘로봇이라면 선택하지 않을 수’를 둬서 알파고를 이긴 것이 바로 그 예시가 될지도 모르겠다.
/
어려워보이는 책이었지만 생각보다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었던 것은, 딱딱한 문체가 아니라 어딘가 소설적인 문체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특히 위의 알파고 등의 아는 사건이나 이름이 나오면 더욱 반가웠다.
/
인공지능은 인간을 자료 삼아 익히고, 학습해나간다. 그들은 정답을 익히는 게 아니라 인간의 행동과 말투를 익힌다. 논란이 되었던 챗봇 사건들처럼 그들의 발화 방법은 인간의 것이기도 하다. 그렇게 인공지능들은 세상의 모든 것을 익혀나가는 와중에,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 정해진 답이 없는 질문이라는 걸 알면서도, 이러한 생각을 책을 덮은 뒤에도 계속해서 하게 되었다.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김영사 #케이드메츠 #AI메이커스 #인공지능전쟁의최전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