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크 씨, 도파민 과잉입니다 - 안철우 교수의 미술관 옆 호르몬 진료실
안철우 지음 / 김영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철우 <뭉크 씨, 도파민 과잉입니다>

김영사

/

예술은, 그중에서도 특히나 미술은 왠지 멀게만 느껴지는 것 중 하나였다. 문자 그대로 부유층의 소유처럼 받아들여졌던 것은 왜일까. 지금은 미술 작품을 소장하는 사람이 늘었고, 진입장벽도 함께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납작한 표현으로는 미술을 설명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여기, ‘어디서 본 적 있는그림을 한 번쯤 들어본 적 있는호르몬으로 설명해주는 책이 있다. 슬픈 그림을 보면 슬프다고 느끼는 것은 당연하지만, 어째서 당연한지는 몰랐던 독자에게 지식의 세계를 제시한다. 알아야 보이는 것이 있듯, 앎으로써 감각을 깨울 수 있는 것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챕터는 희, , , 락 네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챕터에 속한 방문을 열 때마다 명화가 독자를 맞이한다. 그와 함께 화가에 대한 설명과 이에 연결된 감정적 상황, 그때마다 발생하는 호르몬에 대한 설명으로 이어진다. 소설처럼 유려하고 매끄러운 연결고리는 물론 아니지만 독자의 흥미를 끌기에는 적합한 흐름이었다. 마치 전채요리처럼 등장한 그림부터 호르몬에 대한 설명으로 마무리되는 패턴은, 독자를 익숙함의 영역으로 끌어들인다.

/

자주 가는 서점의 시집 코너에는, ‘시집을 고르는 방법이라는 제목의 메모가 붙어 있다. 그 내용 중 하나가 아무 시집을 펼쳐 사랑이라는 주제를 잘 다룬 것 같은 시집을 고르라는 것이었다. 사랑은 가장 보편적인 주제이므로, 그곳에서 마음이 동했다면 그 시집이 잘 맞을 가능성이 높다는 소리다.

이 책도 제목처럼 초반부에 사랑이라는 테마와 뭉크의 <키스>라는 작품을 제시한다. 물론 사랑, 키스를 주제로 한 다른 명화도 다양하게 등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작가는 사랑에 필수불가결한 호르몬 엔도르핀을 제시한다. 이미지와 연결되는 호르몬은 더욱 오래 기억될 것이다. 내가 웹툰 <유미의 세포들>에 등장하는 밴드 엔도르핀을 떠올리며 고개를 끄덕인 것도 이 맥락일 것이다.

- 앞서 이야기했듯 사랑은 여러 호르몬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탄생합니다. 이를테면 도파민은 첫눈에 반하는 사랑에 작용하고요, 옥시토신은 연인 혹은 부부 관계를 오래 유지해주지요. (33)

/

평소 전시를 좋아해 자주 보러 다니는 편이긴 하지만, 즉각적인 감상에 집중할 뿐 그것이 어떤 체내원리로 발생하는지는 신경쓰지 않았다. 아마 모두가 그럴 것이다. 그리고 전시장을 떠나 익숙한 공간으로 돌아왔을 때, 당시의 감정과 느낌을 떠올리며 흐려지는 기억에 아쉬운 경험도 모두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 책은 감정을 기록해둔 것은 아니지만, ‘느낀감정에 대해 보다 정확한 언어로 표현해두었다.

아직 미술도 의학도 너무 멀게만 느껴진다면, 그저 그림과 감정으로 접근해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