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이는 사업아이템 62가지
김승현 지음 / 하움출판사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책 표지는 깔끔하면서 내가 회사에서 매일 작성하는 현황 속의 "표" 맨 윗 타이틀과 동일한 색상에 하얀색의 글씨로 대조 효과를 준 형식이 눈에 너무 익어 호감이 갔다.  


작가는 인터넷보험회사 케이에스자산관리(주)  와  광고중계회사 (주)써패스 대표이사를 겸직하고 있는 현직에 있고 과거 1인 창업을 통해 성과를 거두기도 한 것으로 보면 창업에 대한 강한 자신감과 축적된 노하우가 있을 것 같은 믿음이 생긴다. 


확실히 평소 관심있게 보는 경제 신문, 네이버 경제, job&을 애독하는 사람으로서, 제시한 사업아이템이 모두 생소하지 않고 알고 있었던 것도 있었다. 실제 현재 사업이 진행 중인 아이템도 있고(책 뒷편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나열해두어 편집하였다), 어떻게 하면 손익분기점을 넘을 것인지 등의 함축된 내용이 담겨져 있어 62가지의 사업아이템을 금방 알아갈 수 있다. 


이것이 정말 사업이 될 꺼라고 생각하는 건가.. 싶을 정도의 직장생활만 10년 넘게 해온 나에겐 이해하기 어려운 점도 있었지만 현직에서 일하며 선출하신 점을 믿고 읽어나갔다. 


타이틀을 통해 아이템을 제시했고, 먼저 아이템 관련 현재 지표나 배경을 설명한다. 가끔 통계청 등에서 확인된 표를 삽입하기도 했다. 그 다음 준비사항이나, 갖춰야 할 요건 등을 제시하고 이 아이템이 왜 차별화가 있고, 사업성이 있는지 작가의 생각과 현재 진행되고 있다면 그  상황, 제일 중요한 수익 모델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골프장부킹 전문 사이트 관련 사업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아이템이고, 각 골프장들과 연계되어 골프장 부킹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고객들에게 가능한 시간을 통해 예약을 도와주고 가격 비교까지 가능하게 한다. 

비즈니스를 진행할 때에는 실시간 데이터를 받을 수 있어야 하는 시스템 구축과 골프장의 데이터 제공에 따른 수수료 비용이 발생하고, 문의 및 취소 등의 사항이 발생하여 대응할 수 있는 직원의 인건비가 발생한다. 

수익모델은 골프장에서 받는 그린피에 대한 수익쉐어(거의 50%로 본다.) 골프회원권과 골프여행 상품을 같이 팔아 수익을 남긴다. 금전적으로 제약이 없다면 힘든 골프장을 인수하고 부킹을 정상화한 이후 다시 매각하는 수익 형식도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사람들이 있듯이 요구하는 것도 다르고 원하는 바도 다를 것이다. 

많은 대중을 공략하기 보다는 다양한 니즈를 파악하여 틈새 공략하는 아이템들이라 적은 돈으로 바로 할 수 있겠지만 장단점이 있으니 사전 파악을 위해 발품 팔아 노력해야 하는 것은 창업주의 몫이 되겠다. 


"새로운 창업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사업을 끊임없이 개선하는 것도 성공의 길일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