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고 싶은 스무살, 연애하고 싶은 서른살 - 심리학, 상대의 속마음을 읽다
이철우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제목처럼 사랑과 연애 도대체 무엇이 다를까? 라는 고민이 들었다. 사랑은 스무살이 하고 싶고 연애는 서른살이 하고 싶다라.. 이제 20살 중반인 내가 이해하는 사랑과 연애의 차이점은 사랑은 콩깍지라면 연애는 밀당인 것 같았다. 그렇지만 현실은 반대의 모습을 많이 띄고 있었다. 스무살때는 밀당을 하는 연애를 하게 되면서 불안감을 느낀다면 서른살에는 안정적인 사랑을 하면서 지루함을 느끼는 것 같았다.

  주변에서 연애의 끝에 이르렀을때 대부분의 이들이 하는 이야기는 "지쳤어"였다. '지쳤다'라는 말의 의미는 수십가지가 될터인데, 단지 그 말만 듣고는 어떤 이유로 힘들어하였는지 왜 헤어졌는지 알수가 없었다. 한번은 내 주변에 있는 커플이 헤어졌는데 남, 여 모두가 내 친한 친구였었다. 그래서 시간을 내어 남, 녀를 따로 만나 대화를 나눠보았는데 이유는 한가지가 아니였다. 많았다. 생각 차이. 또 이해의 차이. 말하는 법의 차이. 행동하는 방법의 차이. 이 모든 것들이 문제였었다. 이 모든 문제를 통틀어 하나의 주제로 귀결시켜 이야기하자면 서로가 다르다는 것을 서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남, 여는 책에서도 분명히 다른 사람이라고 명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남, 녀는 서로가 틀리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가 하는 말, 행동 등에 있어서 옳고 그름만 따질 뿐.. 역지사지의 자세, 서로가 다른 존재라는 이해가 없었다라고 이야기 하고 있고. 이 책은 다름이라는 것에 대해서 설득력있고 쉽게 설명해주며 인정하라고 이야기하고 있었다.

  많은 남, 여가 만나고 헤어지고를 반복하는데, '이 사람과 연애를 해야지'라고 마음 먹는 그 순간 어떤 수만가지의 생각이 머릿속을 맴돌까? 라는 의문이 생겼다. 보통의 사람처럼 연애를 한다면 결혼전까지 진지한 교제는 대략 4~5번 정도로 혹은 10번 이하 정도의 연애 경험을 가지고 있을 터이다. 연애는 몇번을 해봐야 익숙해지는 걸까. 한 100번쯤 연애를 한 사람이라면 해서 연애에 완벽할까?

  이 책은 애정을 전제로 한 만남을 가지고 있는 남, 여 모두가 읽어보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했다. 소통의 문제. 이것은 분명 어느 한쪽만의 문제라고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말하는 자와 듣는 자. 서로에 대해 이해하려는 조금의 배려과 진심만이 있다면 이 책은 진정 연애 불가능자를 연애 가능자로 만들어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특히나 매번 연애를 실패하는 나같은 사람에게 강추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