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인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세상엔 소중한 사람이 없는 인간이 너무 많아.  소중한 사람이 없는 인간은 뭐든 할 수 있다고 믿어버리지. 자기에겐 잃을 게 없으니까 자기가 강해진 걸로 착각하거든. 잃을 게 없으면 갖고 싶은 것도 없어. 그래서 자기 자신이 여유 있는 인간이라고 착각하고 뭔가를 잃거나 욕심내거나 일희일우하는 인간을 바보취급하는 시선으로 바라보지. 안 그런가? 실은 그래선 안 되는데 말이야.  

_448쪽 중 

 

정말 오랜만에 읽는 도중 몇 번 소름끼치게 하는 책을 읽었다. 시작은 영화였고, 영화를 보니 유이치의 생각이 너무나 궁금해져서 책을 찾아읽었다. 영화가 바로 가슴을 두드리는 느낌이었다면, 책은 더 자세하게 주인공의 마음을 알려주었다. 그런데 책을 읽고, 조금 후회한 듯한 느낌이 드는 게 의외였다. 영화를 볼 땐 이리저리 상상할 수 있었는데 책은 그런거였구나.. 하는 기대와 다른 실망감도 주었다. 하지만 어머니와 관련된 새로운 사실을 알았으니까 그것도 나쁘지 않다. 그리고 원작보다 영화가 더 좋다고 생각한 것도 처음이었다.

영화를 볼 때 요시노 아버지의 독백이 새삼스럽게 조금 충격이었다. 동감했기 때문이었다. 지금 나를 보고, 주위를 보고, 모르는 사람들까지 둘러봐도 소중한 사람을 가진 사람은 별로 없어보인다.  

수없이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의 외로움, 때때로 들이치는 삶에 대한 공허함, 살면서 점점 잃어가는 열정과 두터워지는 자기보호. 왜 그런지 몰랐고, 그러고 싶지 않아도 수렁 속으로 끌려가듯 정도는 심해졌다. 이 세상 모든 것이 무의미한 때도 있었다. 이런게 사회에 물들어 가는 건가 하고 막연히 생각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답을 찾은 느낌이었다. 나도. 소중한 사람이 없었다. 그리고 나는 내가 강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한발짝 떨어진 곳에서 타인을 보며 한심해했다. 바보같다고 생각했었다.  

이런 생각도 해봤다. 소중한 '무언가'가 있으면 되는 거 아닌가. 그게 사람일 필욘 없지 않나 하는. 그런데 그건 '사람'이어야만 하는 것 같다. 생각할 수 있고, 나와 감정을 공유할 수 있고, 삶에서 서로 의지가 될 수 있게 사람이어야 한다.  

그러고보니 주제는 악인이 아니었나 싶은데, 내게 남은 건 소중한 사람에 대한 이야기인 것 같다. 진정한 악인은 없고, 피해자만 있었다. 가엾고, 불쌍한 사람들만 있었다. 이 세상에 소중한 사람을 가진 사람이 훨씬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초등학생 때나 했을법한 생각도 오랜만에 했다. 소중한 사람이 있는 사람은, 악인이 될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