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6펜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8
서머셋 몸 지음, 송무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찰스 스트릭랜드와 고갱. 고갱을 모델로 쓰여져 유명한 작품이란 것은 미술에 문외한인 사람이라도 들어봤음 직하다. 고갱을 개인적으로 잘 알지 못해서 조금쯤은 염려하며 책을 펼쳤지만 나만의 생각인지는 몰라도 저자도 고갱의 작품에 대해서는 그리 잘 알지 못하는 것 같아서(적어도 책 속의 정보만으로는) 읽는 동안 불편함은 없었다.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고는 하나, 개인적으로는 앞 10장 정도가 이상하게 너무나 지루해서 넘기지를 못하고 덮어버리길 몇 번 반복하고 한참만에 펴서 한달음에 읽을 수 있었다. 먼저 드는 생각은 이 이상한 찰스 스트릭랜드란 남자가 진짜 '인간'같지 않다는 것이었다. 요즘 말로 하자면 싸이코패스가 아닌가 할 정도로 이상하게 보였다. 처자식을 버리고도 전혀 궁금해하거나 걱정하지 않았고, 일말의 동정심도 없었으며 철저히 남에게 무관심했다. 죽을 고비의 자신을 데려와 최선을 다해 살려준 부부에게 한 행동은 특히 평범한 사람으로서는 전혀 이해가 불가능한 부분이었다.

나에게 중년의 나이에 찰스 스트릭랜드처럼 가정을 버리고 모든 사회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그림만을 그리기 위해 살아갈 수 있냐고 하냐고 묻는다면 잘 모르겠다. 증권 중개인의 삶을 버린 이후로 철저히 그는 화가로서만 살았고 전혀 주변을 돌아보지 않았다. 나는 평소에 인간은 장애물이 생기면 더 불타오른다고 생각해왔다. 여기는 조금 안어울리긴 해도 로미오와 줄리엣처럼. 중년까지 눌러온 그의 예술혼이 그 후의 인생에 불타올랐다는 그런 얘기일까. 그렇다고는 해도 정말 절절하게 와닿는 느낌까지는 아니었다. 이런 인간형이 분명 있다고는 해도 너무 낯설었고 알고 싶지도 않은 존재였으며, 천재의 광기로 완성된 죽음을 맞이했을 때는 경이로운 느낌보다는 '이게 뭐야-'란 실소가 터졌다. 어딘지 만화랄까, 옛날 영화랄까 그런 결말의 느낌이었다. 오만과 편견이 고전으로써 신선하고 흥미롭게 느껴졌다면 달과 6펜스는 조금 현실감이 부족하고, 그 때는 어땠는지 몰라도 현재의 감성으로는 몰입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