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춘의 문 1 - 고향편 ㅣ 청춘의 문 1
이츠키 히로유키 지음, 박현미 옮김 / 지식여행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한국 작가의 작품이라면 김진명의 소설을 빼고는 개인적으로 소설은 잘 안 읽는 편이다.
더군다나 일본 작가의 작품은 거의 없다.
한때 '무라카미 류'의 작품을 읽고 감명을 받아 그의 저서를 닥치는대로 읽었던 적은 있다. 그리고 한동안 일본 작가의 작품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 한 두편 정도.
그러다가 우연하게 '요시모토 바나나'의 '티티새'를 읽고는 일본 작가의 작품에 다시 한번 관심을 가졌었다. 나중에 시간을 할애하여 '요시모토 바나나'의 모든 작품을 읽어보리라는 다짐은 여전함.ㅎ
그러다가 이번에 읽게 된 일본 작가 '이츠키 히로유키'의 '청춘의 문 1 (고향편)'.
이 작품 리뷰 쓰기가 참 난감하다.
책을 다 읽고 난 후 실망을 금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작가의 수려한 경력과 이 책에 드리워진 화려한 미사여구와 활약상(?)을 보면서 '정말 그 정도인가?'라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잠시 딴 이야기를 하면,
나는 일본드라마를 좋아하는 편이다. 한국의 드라마처럼 복잡한 관계구도도 없고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과장된 코믹요소도 색다른 재미를 준다.
특히나 이리저리 꼬아 놓고 다시 연결시키며 극적 긴장감을 일으키는 한국 드라마와 차별화 되어 편안하게 볼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드라마와는 다르겠지만, 많은 일본 소설을 읽은 것은 아니지만
어찌되었든 그러면에서 이 책 '청춘의 문 1 (고향편)'은 일본 작가의 작품이라고 생각하기 힘들다. 소설 속의 인물들과 그 배경이 되는 도시가 일본인과 일본이 아니라면 말이다.
담백한 맛은 떨어지고 인물들간의 관계는 조금은 유치할 정도로 엮여 있다. 너무 많은 것들 담아내고자 한 욕심 때문은 아니었을까 한다.
<이 작품은 한 소년의 진로, 사랑과 성을 밀도 있게 그리고 있는데, 여기에 주인공이 복잡다단한 역사를 관통하며 겪는 전쟁, 민족문제 등 미묘한 주제들이 녹아들어 웅대한 인간 드라마를 창조해내고 있다.>
이런 평가를 받고 있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평가만 본다면 서사적으로 상당히 웅장해 보이지만 그저 이런저런 양념들을 혼합해 놓은 것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한다. '성장소설'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 역사도 담고, 성(性)에 대한 것도 다루고 거기에 삶과 죽음까지...
물론 포함되지 말아야 할 것들이 상존하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큰 평가의 잣대를 들이대기에는 좀 무리가 있지 않을까 한다. 곁가지라고 하면 너무 무시하는 말이 되려나...ㅠㅠ
단편적이고 소박한 편견으로 일본 작가의 작품이기에 성(性)에 대해 이렇게 자유로운 표현과 설정이 가능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근친을 상상하게 만는 설정 - 물론 근친은 없다 - 이라든지, 여성의 몸을 묘사하는 부분이라든지...
성(性)에 대한 접근성의 문화적 차이 때문에 생기는 이질감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잠시 해 보았다. 물론 나는 성에 대해 개방적인 편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좀 거부감이 들었던 것은 무슨 이유일까?
전체적으로 내가 처음 만난 일본 작가 '이츠키 히로유키'의 작품 '청춘의 문 1 (고향편)'은 실망스럽다.
책의 두께는 두꺼운 편인데도 쉽게 읽힌 것을 보면 뭔가 매력이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곰곰히 해 봐도 딱히 엄지를 치켜들만한 것은 찾기가 힘들다.
내가 책을 읽다가 감동받게 되어 한동안 머무르게 되는 표현들도 거의 없었던 것 같다. 번역본을 읽는 사람의 한계인지는 모르겠지만 꼭 그것이 전부만은 아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