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살아가는 힘 - 내가 선택하고 결정하는 인생법
문요한 지음 / 더난출판사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스로 살아가는 힘 (문요한)

 

 

30만 독자의 공감을 얻어낸 '굿바이 게으름'의 작가이자 정신과 의사인 문요한은 들어가는 글에서 이렇게 말한다. 

"이 책은 여러분에게 불편함을 줄 지 모르겠다. 당신은 과연 자율적인가?라는 질문을 계속 던지고 있으니 말이다." 

 

이 책을 읽으면 내가 정말 제대로 살지 못했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마치 남의 삶을 대신 사는 듯한 기분이랄까. 작가의 말 그대로 이 책은 불편함을 줬지만 새로운 자극제가 됐으니 독서의 가치는 충분하다. 

 

독자들에게 우리 안의 자율성을 회복하는 방법과 다른 이의 자율성을 이끌어내는 묘안을 '스스로 살아가는 힘'을 읽다보면 발견할 수 있다. 능동적이지 못하고, 방향 없이 살아온 삶을 조금이나마 바꾸려 노력하게 만드는 좋은 책이다. 

 

특히나 요즘 내가 고민하고 있는 아이 교육 문제에 대해서 서술한 '한계가 없다면 자율도 없다(244p)'의 장은 구구절절 와닿는다. 

 

예시로 든 K부부 사례는 상황은 조금 다르지만 마치 나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 같았다. 통제에만 기를 썼지, 아이에게 자율성을 키워주지 못한 양육방식에 치명적 문제점이 있다는 걸 느꼈다. 덜 성숙됐지만 인격체로서의 아이의 감정에는 전혀 무관심했다는 생각에 반성도 하게 됐다. 양육뿐 아니라 직장이나 여러 조직에서의 자율적 행동과 생각에 관해 조언해주는 내용도 매우 유익하다.  

 

'스스로 살아가는 힘'은 우리 의지와는 상관없이 세상에 태어난 우리에게 '지금부터는 자율적으로 살아봐'라고 격려하고 그 유용한 방법들을 차근차근 제시해주는 책이다. 살아가는 게 답답하고 무의미하다고 느껴진다면 '내가 이끌어가는 새로운 삶'을 안내해주는 이 책에 빠져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자율성의 한계를 정하라! 

 

첫째, 스스로 정하게 하라. 이때도 통제적인 언어 즉 '꼭 해야 한다, 반드시' 등은 삼가고 상대의 욕구나 감정을 인정해주는 것이 좋다. 

 

둘째,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규제가 필요하다면 왜 그러한 규제가 필요한지 상대의 눈높이에 맞게 충분히 전달한다. 

 

셋째, 한계를 정하되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최대한 준다. 작은 선택이라도 할 수 있을 때 자율성을 존중받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 본문 중에서-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블로거의 오늘의 책에 참여한 포스트 입니다
그린리뷰 캠페인|저는 건강한 리뷰문화를 만들기 위한 그린리뷰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