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의 행복론 - 매일 밤 조금씩 성장하는 인생 수업
존 킴 지음, 홍성민 옮김 / 더난출판사 / 2014년 1월
평점 :
품절



한밤중의 행복론 (존 킴)

 

'어떻게 살아야 하나' 

이 평범하면서도 심오한 물음의 해답을 찾기 위해 여러 사람들과 교류를 하기 위해 메일 매거진을 발행했고, 의외로 다양한 계층으로부터 관심과 호평을 받았다. 진지하고도 열성적인 반응들이 차곡차곡 쌓여갔고 많은 이들의 객관적인 의견을 취합한 것이 바로 '한밤중의 행복론'이라고 저자인 존 킴은 말한다. 

 

이 책은 우선 글자수가 매우 적다. 처음 몇장을 넘기면서는 뭔가 허전한(이것은 무수한 미사여구와 사례들을 많이 집어넣은 다른 책들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인지 모른다)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그래서 좀 성의가 없다는 생각도 든 게 사실이다. 

 

그러나 첫번째, 두번째 밤을 지내며, 저자의 군더더기 없는 담백한 주장에 끌리기 시작했다. 10일동안 밤마다 한 챕터씩 읽으라고 안내하고 있지만 막상 읽기 시작하면 내일밤이 궁금해 참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그래서 더난출판의 책 가운데, 가장 스피디하게 읽어낼 수 있는 서적이란 게 장점이라면 장점이다. 

 

행복의 진정한 의미와 이를 좇는 나같은 평범한 현대인에게 가장 와닿는 밤은 역시 여덟번째 밤 '행복을 선택하는 법'일 것 같다. 

자신의 목표가 확실하고 그 목표를 향해 가고 있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으면 주변의 시선은 개의치 말아야 한다고 존 킴은 말한다. "목표를 향해 한걸음씩 나아가며 기쁨을 느낀다면 그것이 바로 '행복'이다. 우리는 행복을 향해 걷고 있는 것이 아니고 행복을 느끼며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의 이 말이 가슴 속 깊숙히 스며든다. 

 

그는 덧붙인다. "자신의 목표 끝에 행복이 있다고 생각하면 그 여정은 괴롭고, 목적지에 도달했을 때만 행복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목적지에 다다르기 위해 노력하는 자신 안에서 행복을 발견할 수 있다면 그 여정 내내 행복을 느낄 수 있다."고 말이다. 

 

 

여러날 밤으로 나뉘어진 챕터마다, 저자의 깊은 통찰과 메일매거진을 통해 많은 이들과 교감한 행복론이 한땀한땀 새겨져 있다. 이 책은 몇시간이면 읽어낼 수 있는 분량이지만, 곁에 두고 자주 읽어도 좋을 듯하다. 확고한 행복 철학을 갖지 않는 한, 인간이기에 행복보다는 불행을 쉽게 느끼기 때문이다. 

 

끝으로, 긍정과 부정의 사고를 가진 인간의 유형을 저자가 세분화한 내용이 매우 의미 깊기에 여기서 공유해본다. 

 

 

 

A : 스스로 생각하지 않고 부정적인 사고를 반복하는 유형. 이 유형은 가장 좋지 않다.

 B : 스스로 생각하지 않고 긍정적인 사고를 반복하는 유형. A 다음으로 좋지 않다.

C : 고민 끝에 부정적인 사고를 선택하는 유형. 이 유형은 비교적 낫다. 

D : 고민 끝에 긍정적인 사고를 선택하는 유형. 이 유형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다. 

 

어떤 일이든 무턱대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B의 자세는 사실 매우 위험하다. 주변 사람들의 신뢰도 얻기 어렵다. 그 보다는 시행착오나 고생을 해본 후에 세상을 철저히 부정적으로 보는 C의 자세가 훨씬 배울 점이 많다. 

 아무리 말도 안 되는 꿈을 말한다고 해도 열다섯 살 정도의 어린 아이가 입으로만 하는 얘기에는 주위 사람들도 시큰둥하게 반응할 것이다. 많은 좌절과 고생 끝에 갖게 된 생각만이 상대에게 전해질 뿐, 다른 사람을 흉내 낸 긍정적인 사고는 전염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긍정적인 사고를 이해할 때도 겉만 보고 이해했다고 여겨선 안 된다. 긍정적인 사고도 그 사람 속에서 생겨났는지, 표면적인 것인지를 가려내야 한다. 

 

                                                                - 본문 중에서-

 


 

 

해당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블로거의 오늘의 책에 참여한 포스트 입니다
그린리뷰 캠페인|저는 건강한 리뷰문화를 만들기 위한 그린리뷰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