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수단, 세상의 거리를 좁히다 미래생각발전소 18
김영모 지음, 이경국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삶에 없어서는 안 될 교통수단

예전에는 학교를 가기 위해 산을 넘고 강을 건넜고, 배움의 기회가 교통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기회가 주어졌다.

시골들은 관광 명소가 되어 당일 치기로 여행을 다녀 올 수도 있게 되었고, 직장이 출퇴근 가능하면 KTX를 타고 생활하는 이들도 많다. 나도 운전을 하면서 생활의 자투리 시간을 잘 보낼 수 있고, 1개의 스케줄을 소화해 냈다면 운전을 통해서 3~4개는 거뜬히 해내고 있다. 나에게 운전은 매일 하는 거라서 이 책이 더 궁금했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교통수단

증기기관이 발명되면서 속도가 붙었다. 공장이 생기고 일자리가 생기고, 속도와 양이 달아져서 산업혁명을 이루었다.

자연스럽게 도시가 생겨나고, 봉건사회에서 노동자를 고용하는 공장주의 자본이 생겼고, 대량생산 대량소비가 이루어졌다. 연결해서 '프랑스 혁명'도 생겼다. 더 많은 것들을 갖기 시작해서 제국주의 시대가 생겼고, 식민지 확보의 쟁탈전이 결국 제1, 2차 세계대전까지 연결이 되었다. 증기기관이 발명되고 교통수단이 발달하면서 역사와 연관이 되어 있어서 무심코 이용하던 교통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자전거, 지동차, 철도, 선박, 비행기

여러가지 교통수단이 발달하면서 개인적으로 보면 자동차다. 각 집안마다 교통수단을 가지고 있어서 가고 싶은 곳을 마음껏 사용한다. 현재 까지도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교통수단은 자동차 같다. 앞으로 환경을 생각해서 전기 자동차, 수소 자동차가 나오고 있는데 그것에 필요한 것들이 준비되어 나오고 있다.

미래의 교통수단으로 인해 달라지는 것들

기존에 있는 교통수단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4가지 키워드인 연결, 자율주행, 공유 전동화 이다. 현재 서울에 있는 공유자전서 '따릉이'를 보면 많은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것을 보게 된다.

내가 필요한 시간과 장소에서 그때 그때 사용하는 모습이 지금은 일상이 되어 보인다. 자동차도 따로 공유 지하 주차장에 있다가 필요할 때에 시간과 장소에 맞추어 내 앞에 나타 난다니 정말이지 기대된다. 자동차를 몰면서 편하고 시간이 절약되어서 좋지만 늘 주차문제와 정비가 늘 고민이였는데 해결된다고 하니 너무나도 기대가 된다. 자동차도 공유하게 되면 차 생산도 많이 줄어들것이고, 기존의 주차장 장소는 다르게 사용되어 지고, 길이 막히면 하늘 교통을 이용한다고 한다. 예전에 시댁에 내려가는 명절날 거북이 걸음으로 주차장처럼 갈 때면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있어서 편하고 어머님 집에 배달 되었으면 좋겠다 생각했었는데 그렇게 된다는 거 아닌가. 차를 운전하는 개념이 아니라 이동 중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 차 안에서 즐길 거리를 찾아야 한다는 행복한 고민을 하는 시기가 곧 온다는 거다.


* 허니에듀 서평단을 통해 미래아이에서 제공받아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