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움가트너
폴 오스터 지음, 정영목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4월
평점 :
이 책은 죽은 아내를 애도하는 이야기다. 바움가트너의 애도는 절절하거나 울부짖는 방식이 아니다. 그는 아주 조용하게, 담담하게 잃어버린 사랑을 곱씹는다. 안 좋은 일들이 겹쳐 찾아온 어느 날, 아내가 세상을 떠난 지 10년이 흘렀다는 걸 깨닫고 그 순간 기억이 서서히 흐려지고 있음을 느낀다. 다른 사람을 좋아해보기도 하지만, 그는 여전히 아내와 닮은 무언가를 찾아다니고, 아내를 지적으로 탐구하며, 그녀를 끝내 잊히지 않을 존재로 만들어주길 바라는 제자를 오매불망 기다린다. 그 모습은 사랑이자 집착 같기도 하고, 동시에 기억을 붙드는 숭고함처럼 느껴진다.
바움가트너는 아내만이 아니라, 할아버지, 아버지, 어머니, 아내의 부모까지도 자주 떠올린다. 많은 이들을 잃었고, 각자 다른 방식으로 사랑하고 기억해왔다. 이야기 속 기억들은 시간 순서대로 흘러가지 않는다. 아내의 책 내용이 갑자기 등장했다가, 다시 과거로, 또 현재로 자연스럽게 넘어간다. 그 구성 방식이 특히 좋았다. 우리 생각도 항상 직진하지 않으니까. 감정도 기억도 제멋대로 흐르고 튀어나오고 사라지니까.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정신의 리듬을 문장으로 옮겨 놓은 것 같았다.
나는 이 책을 통해 은은한 상실, 잊혀지는 것에 대한 자연스러움, 그리고 잊고 싶지 않은 갈망을 느꼈다. 책장을 덮고 나서야 울컥했다. 그리고 마지막, 바움가트너가 쓴 『운전대의 신비』.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만, 그 사유는 오히려 불안을 키운다. 그리고 그 불안은 마지막 장면의 자동차 사고로 이어진다. 너무 많이 생각하고, 너무 오래 기억하는 것도 결국 삶을 멈추게 할 수 있다는 이야기처럼 느껴졌다.
조용하지만 깊은 애도를 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