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건물에 균열이 생기면 원인을 찾아 수리합니다. 마음의 균열도 마찬가지입니다. 고통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 찾으려 합니다. 아들러는 프로이트의 트라우마 개념이 과거의 특정 한 사건만을 선택해 현재 자신의 복잡한 문제를 합리화하려는 아주 저렴한 시도라고 비판하며 과거나 미래에 자신을 묶어두고 지금, 여기를 살지 않는 이들의 경각심을 일깨웁니다. 현재를 희생해야 미래가 행복하다는 행복론에 맞서 지금, 여기를 말합니다. 정말 지금, 여기의 행복을 위해 살아도 될까요? 그것은 현재의 쾌락만을 위한 것이며 언젠가 혹독한 댓가를 치를 것이라는 불안이 생깁니다. 아들러는 그 편견을 깨뜨립니다.

 인생은 과거에서 현재를 지나 미래로 이어지는 선이 아니라 점() 같은 찰나가 쭉 이어질 뿐이라고 합니다. ‘인생이 찰나의 연속이라면 지금, 여기를 진지하고 충실하게 산 그 순간이 모여 미래가 됩니다. 미래에 대한 지속적인 불안감 조성과 동조는 손쉬운 통제와 관련되어 있을 것입니다. 지금 내 모습이나 내가 하고 있는 것에 대한 불만은 사회적 욕망에 쉽게 편승하는 마음과 결핍감을 채우려 소비심리나 인정투쟁 등으로 이어집니다.

 

엄기호는 해도 안되는 시대, 벗이 필요한 이유에서 기대 속에서 현재를 유예하는 삶은 행복할 수 없다. 기대를 하면 할수록 우리는 자신을 소비하고 착취하고 억압하면서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라고 합니다. 스스로를 착취하고 억압하는 이들이 자신을 좋아하는 경우는 드물겠지요. 스스로를 사랑하는 이들은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지 않고 우월성 추구를 통해 용기 있는 변화를 지속해갑니다. 자신을 싫어하는 자존감 낮은 이들은 어떠할까요?

 

김찬호는 모멸감에서 낮은 자존감 및 행복감은 자기에 대한 사랑의 부족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사회적 신뢰가 많이 무너져 있고 타인과의 인간관계가 심하게 어그러져 있음을 나타낸다. 자신의 존재가치를 타인을 통해 확인받고 싶은 욕구는 엄청난데 서로를 인정해주는 너그러움은 부족하다. 웬만큼 잘나지 않으면 괜찮은 사람으로 인정받지 못한다. 여기에 저성장으로 인해 생존의 기반마저 흔들리면서 남부럽지 않은 삶은 더욱 실현이 어려워 보인다. 거기에서 비롯되는 결핍과 공허를 채우려고 갖은 애를 쓰는데, 한국인들이 많이 취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가 바로 타인에 대한 모멸이다. 누군가를 모욕하고 경멸하면서 나의 존재감을 확인하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폭발하는 인정투쟁과 그에 비례하는 분노가 이해됩니다. 기시미 이치로가 해석한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미움 받을 용기자기에 대한 집착(인정투쟁)’에서 벗어나 타자 신뢰타자 공헌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감각의 회복을 이야기합니다. 내 삶의 문제는 나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다만 내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하며 생활양식를 바꾸는 용기 있는 선택의 자유는 있습니다. 내 변화는 나로 끝나지 않습니다.

 

사회적 치유란 정확히 민주주의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 우리가 타인에게 마음을 쓰고 자기의 마음을 건네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고민하는 일이 민주주의의 시작이라고 진은영 시인은 말합니다.

 

지금, 여기에서 자신을 사랑하는 것은 개인의 충만한 삶의 시작인 동시에 일상에서 민주주의를 만들어가는 일입니다. ‘자유롭고 행복한 나와 너의 출발은 자신을 사랑하는 일입니다. 지금, 여기서 나를 사랑하는 생활양식를 배웁니다.

‘인생은 과거에서 현재를 지나 미래로 이어지는 선이 아니라 점(點) 같은 찰나가 쭉 이어질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