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을 위한 그림 동화 심리 읽기 - 재투성이에서 라푼첼까지 심층심리학으로 들여다본 여성 심리의 비밀 그림 동화 심리 읽기 1
오이겐 드레버만 지음, 김태희 옮김 / 교양인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론 자신과 화해하는 일이 직선적으로 일어나지는 않는다. 오히려 나선형으로 일어난다. 이른바 ‘재발’이 되풀이해서 일어날 것인데, 이는 심화, 반복, 새로운 관계맺음, 변형에 다름 아니다. 그 누구도 다른 사람의 잃어버린 유년기를 돌려줄 수는 없다. (중략)다만 과거의 느낌이 다시 돌아오는 일은 불가피하다. 이 느낌은 고통스러울 만큼 자주, 그러나 처음 진정으로 말을 건다. 그리고 해묵은 불안의 영역마다 새로운 신뢰의 영역이 자라기 시작한다. - 재투성이 177p.

 

자아를 찾는 오랜 여행 끝에 자신과의 화해에 이르러 본 사람은 오이겐 드레버만의 이야기에 공감할 것이다. 깨달음에 이르렀으나 과거의 습관이 되돌아오는 순간 절망스럽다. 독일의 신학자, 심리학자, 평화운동가인 지은이는 ‘새로운 신뢰의 영역’이 자라는 순간을 지켜보라 한다.

부제가 ‘재투성이에서 라푼첼까지 심층심리학으로 들여다 본 여성 심리의 비밀’인 이 책은 그림 형제가 채록한 그림동화《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Kinder-und Hausmarchen)》속 동화 신학, 심리학, 종교를 넘나들며 분석하고 있다. 가와이 하야오는 ‘동화’란 인간 삶의 본질을 쉽고 편안하게 들려주는 장르라고 말한다. 지은이는 이와 더불어 동화의 문장 하나, 단어 하나까지 상징과 비유로 들어 현실의 삶으로 끌어낸다.

 

<재투성이>동화를「불안의 그늘에서 자라는 아이」,「착한 아이 콤플렉스의 기원」,「‘살아 있음’의 죄의식」,「‘악한 계모’는 누구인가」,「아버지는 왜 딸을 도와주지 않을까?」등의 제목으로 심층심리학적으로 분석한다. 지은이는 ‘<재투성이>‘동화’는 어떤 의미에서 겉보기에는 그런대로 무난한 환경이지만 환영받지 못하는 잉여의 아이로 성장하는 모든 아이들의 이야기‘이며 ’이런 상황에서도 어떻게 포기하지 않고 사랑을 갈망하고 행복을 꿈꿀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여성 심리의 비밀’이라는 부제가 남성의 선택을 방해할 수 있지만 <재투성이>의 아버지 역할과 부재의 이유를 분석하고 상투적으로 보이는 왕자가 사실은 상대의 외면이 아니라 ‘어마어마한 슬픔과 자기억압과 고독에서 나와 다른 사람의 사랑 안에서 행복과 믿음으로 가는 길을 찾은 소녀’의 내면을 볼 줄 아는 남성으로 설명하며 동화 속 왕자의 인간적인 면모를 드러낸다. ‘잉여의 아이로 태어났’지만 타인의 인정이 아니라 스스로 사랑할 줄 아는 독립적인 인간이 되어가는 과정을 그린 <재투성이>는 마침내 사랑을 쟁취하고 자신만의 왕국을 건설한다.

 

지은이는 불안과 죄책감으로 가득 찬 아버지와의 갈등을 그린 <가시장미 공주>, 삶과 죽음, 어머니와 마녀 등의 양면성으로 모녀간 갈등을 그린 <라푼첼>, ‘영리함’이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해도 좋음을 뜻하는 것임을 배우지 못한 <영리한 엘제> 등을 통해 우리 삶의 비밀을 풀어놓았다. 주석만 80여 쪽에 이르는 책은 한 편의 동화가 삶의 본질을 꿰뚫고 있음을 보여주는 훌륭한 증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