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공주 두껍아 두껍아 옛날 옛적에 18
정하섭 엮음, 이지선 그림 / 웅진주니어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구대왕의 일곱 째 딸로 태어나 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버림받은 바리. 그런 바리를 비리공덕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정성껏 키운다. 큰 병이 든 오구대왕과 길대부인을 위해 여섯 공주는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버림받은 바리가 이승과 저승을 넘나들며 부모를 살리고 갈 곳 몰라 헤매는 영혼을 저승에 데려다주는 일을 하는 무조신이 된다.


「바리공주」이야기는 부모로부터 버림받은 바리가 큰마음을 가진 어른이 되어 죽은 자의 영혼의 길을 밝히는 무조신이 되는 옛이야기다. 「바리공주」이야기는 여러 책이 나와 있지만 이지선이 그리고 정하섭이 엮은「바리공주」는 민화풍의 그림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이야기 전개에 따라 밝은 색채와 괴기스런 지옥까지 보여주지만 단순히 무섭거나 섬뜩함이 느껴지지는 않는다. 눈은 등잔불 같고 얼굴은 쟁반 같은 무장승을 만나는 장면은 화려한 꽃들로 환상적인 신비로움을 보여준다. 죽음과 고난, 지옥, 죄 등 삶의 커다란 문제를 다루지만 화려한 색감으로 인해「바리공주」는 삶의 생기를 느끼게 한다.  


굿을 시작하기 전에 무당들이 신들의 내력을 풀이하는 노래를 ‘서사무가’라 하는데 바리공주 이야기는 「오구굿」에서 불리는 노래로 무속인의 조상격인 ‘무조신’에 대한 전설이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온 무조신 바리공주 이야기는 지역에 따라 이야기가 다르다. 무장승과 결혼해 무조신이 되는 이야기와 동수자와 결혼해 별이 되는 두 가지 갈래로 크게 나뉘어 전해진다. 이 책은 무조신이 되는 이야기를 그림책으로 그렸고 <한겨레아이들>과 <대교출판>의 「바리공주」는 북두칠성이 되는 이야기이다. 


부모에게 버림받았으나 그들에게 고난이 닥치자 외면하지 않고 갖은 고생 끝에 부모를 구하고 길 잃은 영혼을 이끄는 큰 품으로 다시 태어나는 바리 이야기는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고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할 만한 이야기다.

아이들과 바리공주의 모험과 현실의 삶의 장애를 비교해보거나 초등고학년들과는 우리의 정신세계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무속 신앙이 우리 삶과 어떤 연관을 맺으며 살아오고 있는지 이야기해볼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