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관계에도 지혜와 법칙이 있다
데일 카네기 지음, 조용규 옮김 / 꼬마나라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카네기 시리즈를 알고 있을 것이다.너무나도 나에게는 특별한 저자의 책이라는 점에서 본서에 호감이 갔다.카네기 성공론,대화론,지도론...나는 한동안 카네기 시리즈에 흠뻑 빠져 있었다.그의 문장 표현력은 나를 매료시키기에 딱임만큼 절묘하고 기발하다.7장으로 구성된 이 책 또한 그런 묘미를 지닌 가치있는 책이라고 나는 추천을 하고 싶다.인간관계가 우리 삶에 있어 어떤 존재의 가치를 지니는지 이 책을 읽고 난다면 절감을 할것이다.요람에서 무덤(From Cradle to Grave)까지 일어나는 삶의 중요한 제과정이라 인간관계를 대표적으로 표현하는 말을 안다.

이는 태어나면서 죽을 때까지 이루어지는 호흡과도 같은 것이기에....기본적인 규범을 통하여 서로가 서로를 돌아보며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고 본다.이러한 인간관계의 발전을 위해서는 서로간 친절과 봉사, 대접, 인사 및 칭찬 등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카네기는 내세우고 있는것이다.특히, 인간관계는 서로를 돌보며 정(情)의 매체를 통하여 서로간의 적응을 요구하며,인간관계를 통하여 자신의 긍정적인 자아의식을 계발하는것 또한 우리의 인간관계를 풍요롭게 하는 것이다.

카네기는 인간관계 속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속성들을 내포하고 있다고 말을 한다.긍정적인 면이 있는가 하면 부정적인 갈등의 관계들이 형성되기도 한다는 뜻이였다.사회에서는 사랑이 있어야 할 종교단체까지도 사리사욕과 명예 때문에 갈등과 반목의 경우를 보게된다.종교단체의 직분을 마치 권력 창출의 도구로 생각하는 잘못된 의식에서 오는 갈등이 있다. 또한 독단적으로 단체를 운영하려는 경향 때문에 부정적인 요소가 발생하여 단체가 어려움과 시련을 겪게 되는 경우도 있지 않는가?

직장에서나 조직에서 그리고 단체 내에서 인간의 관계 개선을 위하여 많은 프로그램과 또한 그룹 활동을 추진하지만 서로간의 업무와 인사적인 불만 때문에 심리적 갈등과 반목의 분위기는 가중되기도 한다. 이러한 결과는 자신의 명예와 욕심이 지나친 결과이다. 이러한 요소 때문에 어느 때는 직장이나 조직에서 서로간의 감정이 대립되어 심리적 불만이 싹트기 쉽다.인간관계는 성실성에서 시작한다. 작은 일에 충성하는 자는 큰일에도 충성하는 것을 잘 안다.작은 일을 맡아서 잘 수행하는 자의 결과를 보고 다음에 좀더 큰 일도 맡게 하는 것이다.그런 성실한 자세를 카네기는 강조하는것이다.

조직의 목표를 우선 생각하는 것보다 개인 욕구를 중시하며 책임보다 권리를 더욱 주장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들이 요즘의 세태이다.인간관계의 수단을 금전으로 생각하는 세태에서 오는 폐단이며 앞으로 진정한 인간관계를 위해서는 인내하고 지속적이며, 관계개선을 위해서 금전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것을 뛰어넘어야 할 것이다. 즉, 인간관계에 금전이라는 수단을 중시한 결과 인성 중시보다 물질 중시로 인하여 변형된 개인주의화가 나타나는 것이다.

정(情)의 문화보다 현실적이고 계약적인 점을 중시하는 세대이다보니 인간관계도 정확하게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생각을 지녀본다.원만한 대인관계로 성공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카네키는 개인주의를 과감히 던져 버리라고 우리들에게 충고하고 있다.이기주의 개인주의 이 모든 단어들은 눈쌀을 찌푸리게 하기에 충분하다.우리 주위의 사람들중 이기적인 이들이 있지 않는가?그들을 한번 유심히 보라.그의 주위에는 친구하나 동지하나 없을것이다.그들은 외롭다.외로움고 고독함을 자초한것은 자신의 인간관계에 대한 기술과 법칙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성공론에서 나에게 큰 조언을 해 준 '데일 카네기'!인간 관계의 법칙론을 말한 이 책은 우리가 과연 어떻게 행동을 하며 어떤 대화법과 어떤 자기 관리법을 가져야 올바른 인간관계를 형성 유지할수 있는것인지를 세세히 알려준다.그게 바로 인생의 成功人이 되는것이다.자녀와 부모사이, 형제사이,이웃들과의 인간관계,이성간의 성공적인 인간관계에 이를 다 내포하는 지혜가 듬뿍 담겨져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