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 원하는 것 모두 그대 안에 있다 - 아하 붓다 1
스티브 헤이근 지음, 송현주 옮김 / 이론과실천 / 2001년 6월
평점 :
품절


개인적으로 불교를 믿고 있지만 솔직히 그다지 불교에 대한 관심을 그리 없었다는게 사실이다.이 책의 저자는 동양인이 아닌 서양인이라는 점에서 일단 호기심을 듬뿍 주었다.저자는 붓다의 가르침 특히 사성제와 팔정도를 중심으로 설명한 책이다.타종교 신자들에게는 어떻게 나의 이야기가 받아들여질지 모른다.하지만 불교신자의 입장에서 이책을 읽지 않았다.'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자신의 종교 이론에 신빙성을 더 준다는것은 부인하지 못할것이다.책을 읽음에 중심을 잃어버리기도 십상일터 나 스스로 객관적으로 저자가 말하는 '붓다의 가르침'으로 인간과 종교에 대해 깊은 생각을 가져보게 하였다.

人間은 아득한 옛날부터 인생과 우주의 궁극적인 문제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추구해 왔다.또한 영원히 살고 싶어하는 人間의 갈망은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은 것이다.현대의 고도로 발달한 인류학의 연구에 의하면 원시인들에게도 인생의 궁극목적에 대한 탐구의 흔적이 나타나 있다고 한다. 원시인들도 그들 나름대로 인생에 대한 물음을 어떤 초월적 힘에 대한 외경(畏敬)에서 찾았으며, 마침내는 죽어야 할 운명에 놓여 있는 人間은 그 허무함과 무상을 극복하기 위해 영생 혹은 후세의 삶을 믿고 있었음이 그들의 장례예식에서 드러나고 있다.

그들이 살았던 동굴에 묻힌 사람의 뼈가 잘 정돈되어 있는 것은, 죽은 후의 세상이 있다는 것을 믿고 죽은 이를 위해 정성 들여 장례식을 거행한 증거이다. 또한 人間의 유해는 동물의 시체와는 달리 정성 들여 매장했으며 죽음의 여행길에 필요한 도구나 음식 혹은 동반자까지 함께 묻은 흔적도 그 증거인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들이 살고 있던 동굴과 뼈가 묻혀 있는 무덤들에서 발견되는 조각과 그 밖의 예술작품들은 모두 그들의 종교의식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이렇게 人間은 시초부터 종교를 가지고 살았으며 현재에도 문명인이든, 미개인이든 모두 종교를 가지고 있다.불교란 무엇인가?인류의 역사와 문화, 인간의 지성과 불교는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일까? 人間의 문명이 발달하면 종교는 없어질 것이라고 하는데 과학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에도 왜 불교 인구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가?초심의 반문을 불식시켜 주었다.

나는 우리나라의 종교인 중에 불교인이 차지하는 수가 다소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하지만 선을 행하라는 불교의 가르침에 많은 이들이 선을 행하는데 관심이 없다. 적어도 잠시만이라도 질투, 자존심 그리고 사악함을 없애는 법을 배워간다면 불교를 실천할 올바른 길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대단히 불행하게도 사람들은 나쁜 생각을 없애려고 하기 보다는 오히려 그것들을 마음속에 감추고 기르는 방향으로 행동한다.많은 사람들이 개인적인 이익과 권력을 위해 불교를 악용하는 듯하다.저자도 그런점에 아쉬워한다.

오늘날 우리 국민은 평화와 행복을 누리고 싶어한다.평화와 행복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고, 국민과 지도자가 함께 반야바라밀다의 정신을 생활의 실천원리로 삼을 때 가능하다고 본다.그때 비로소 우리는 전쟁과 전재의 공포로부터 해방될수 있을 것이다.빈곤과 질병으로부터 해방될수 있으며,우리 속에 깃들인,그러면서도 우리가 지금까지 몰랐던 인간의 고귀함을 자각하게 되도록 우리 모두의 무명으로부터 해방될수 있을 것이다.반야바라밀을 생활의 원리로 실천할 때,우리 국가사회는 우리 모두의 사람됨을 보장해 주고,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아름답게 꽃피우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또한 人間 속에 잠자는 고귀한 것을 일깨워 주는 문화사회가 되고,자비심,풍부한 인간성,개혁과 창조를 위한 이성적 모색과 해결의 사회를 만들어 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