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유전자 1 뫼비우스 서재
마이클 코디 지음, 오현수 옮김 / 노블마인 / 2006년 4월
평점 :
품절




5월이면 <천사와 악마>를 영화로 만날 수 있다고 한다.
<다빈치 코드>와 마찬가지로 기호학자 로버트 랭던 역은
톰 행크스가 맡았다고 한다.
그리고 카를로 벤트레스카 역에는 이안 맥그리거가 나온다고 한다.

소설로 읽었을 때는 숨겨진 성배를 찾는 <다빈치 코드>보다는
과학과 종교의 대립을 그린 <천사와 악마>가 더 끌렸었는데
영화는 어떨지... 

<천사와 악마> 영화 개봉 소식을 듣고 다시 읽어볼까 하던 중에 비슷한 소재의 소설을 만났다.
바로 <신의 유전자>. <과학콘서트>의 정재승이 추천사를 쓴 예사롭지 않은 작품이었다.
신은 죽었다! 그러나...
'신의 유전자'는 죽지 않았다!!!
라는 카피로 보아 <천사와 악마>처럼 과학과 종교의 대립을 그리고 있을 것 같았는데...
역시 그랬다. 그러나 <천사와 악마>와는 또 다른 좀더 과학에 치우쳐서
윤리문제를 고민한 작품이었다.

인간 유전자 지도가 공개되고
유전자 지도의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느냐에 따라
언제 어떤 병이 걸리고 언제 죽을 지까지 알 수 있게 된다면...
그리 멀지않은 이야기에 종교가 합쳐졌다.
신의 유전자는 일반인들의 유전자와는 다른 특별함이 있을 것이고
이 특별함이 생로병사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되지 않을까?

작가 마이클 코디는 이런 상상력으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불치병으로부터 좀 더 많은 사람들을 구하고 싶어하는 의사 톰과
컴퓨터에 대한 자신의 능력을 여기에 보태고자 하는 컴퓨터공학자 재스민
그리고 이들의 연구를 종교적인 신념으로 사탄의 행위라고 믿고 막으려는
종교 단체 형제단까지...

그러나 목적은 달랐지만 형제단과 톰은 같은 것을 원했다.
바로 예수의 유전자 지도
톰은 예수의 유전자 지도와 같은 사람을 찾아내 불치병을 치료하는 해법을 찾으려하고
형제단은 신의 부활을 꿈꿨다.

불치병에 걸린 사람들을 구하고 싶다는 순수한 열정과
모든 병을 치료할 수 있을 때 생기는
인구과잉, 빈부격차에 의한 문제 등의 2차적인 문제까지 진지하게 고민해보게 만드는 작품.
무엇보다 과학이 발달한다면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는 생각에 그 울림이 더 큰 것 같다.

그리고 작품을 읽으면서 과학적인 내용이 던져주는 울림과는 별개로
형제단을 대변해 형제단이 사탄으로 지목하는 사람을 제거하는 임무를 맡은
마리아에게 매혹되었다.
고아로 어릴 적 독특함으로 인해 수녀원에서 정신적 육체적 학대를 받다가
형제단 교주의 도움으로 학대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이때부터 형제단의
일에 자신의 모든 것을 걸게 된다. 마치 <다빈치 코드>의 사일러스처럼...
사일러스가 알비노이기 때문에 사회의 차별을 받게되는 것처럼
마리아도 뛰어난 아름다움과 능력으로 학대를 받았던 것이다.
남과 다르다는 이유로...

이런 마리아에게 죽음이라는 신의 뜻을 거스르려는 톰의 행동은
사탄의 행동으로 보였다. 거기에 신의 유전자를 찾는다고
종교계의 귀중한 유산들을 모독했으니...
마리아의 잘못된 생각과 잘못된 선택은 결국 비극으로 치닫게 되지만
마리아는 마냥 안타깝기만 한 캐릭터이다.

<다빈치 코드>에서 톰 행크스나 오드리 토투보다
"나는 유령이었어!"라며 절규하던 사일러스 역의 폴 베타니에게
끌렸던 지라 마리아에게 끌리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까?
<신의 유전자>도 영화로 만들면 재미있을 텐데...
그럼 마리아 역에는 어떤 여배우가 어울릴까 생각하다가 문득
몬스터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펼쳤고 액션연기도 가능한 샤를리즈 테론이 떠올랐다.

<천사와 악마>에서도 톰 행크스 보다 이안 맥그리거의 연기가 기대된다.
벌써부터 5월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