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마 못 다한 이야기들
마르크 레비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한 프랑스 책방>을 통해 친숙해진 마르크 레비의 신작이
나왔다길래 기대감을 가지고 읽기 시작했다.

절친한 게이 친구와 함께 자신의 웨딩드레스를 고르던 줄리아는
뜻밖에 소식을 듣게 된다. 자신의 아버지가 심장마비로 죽었다는 것.
그리고 그의 장례식이 바로 자신의 결혼식 날이라는 것.
아버지와 한동안 연락조차 하지 않고 지내던 줄리아는 큰 슬픔을
느끼지도 못하고 아버지의 장례를 치룬다. 그리고 다음날 바로
회사에 출근해 급하게 처리해야 할 일을 해결한다.
그런데 그때 큰 상자 하나가 자신에게 배달되어 왔다는 연락을 받는다.
집에 와서 열어본 상자 안에는 뜻밖에도 아버지와 똑같이 생긴 인형(?)이
들어 있었다. 여기서부터 부녀의 화해와 소통을 다룬 따뜻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아버지는 자신 때문에 갈라선 딸의 첫사랑을 찾아주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줄리아는 죽은 줄 알았던 첫사랑 토마스의 생존소식에 놀라고
만날 수 있다는 희망에 들뜬다. 그러면서 아버지를 조금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죽은 아버지가 6일 동안 다시 돌아왔다는 독특한 설정 속에
아버지의 사랑과 남녀간의 사랑이 녹아있는 작품이었다.
뒷 부분으로 갈수록 사건의 전개도 빠르고 마치 영화를 보는 듯했다.
그러나 초반에 죽은 아버지가 과학기술의 힘을 빌어 6일 동안 되돌아왔다는 설정은
다소 억지스럽고 이야기에 몰입하기도 어렵게 만든다. 더구나 작가는
아버지가 정말로 죽은 것인지 아니면 죽은 척 연기를 하는 것인지도 모호하게 만들었다.

독일의 통일이 이루어지던 날 운명적으로 만난 첫사랑이라는 설정도
굳이 그렇게 만나야 할 개연성은 느껴지지 않는다.
큰 기대 없이 보았다면 재미있었을 수도 있었을 텐데, 전작을 너무 재미있게
본 탓에 기대치가 높았나 보다. 소설 중간에 등장하는 줄리아의 프랑스 친구들의
이름이 낯익다고 생각했는데 바로 <행복한 프랑스 책방>의 주인공들이었다.
한 작품의 주인공을 다른 작품의 카메오로 등장시키는 것이 신선했다.
마르크 레비의 작품을 꾸준히 읽는 독자에게는 작은 즐거움이 된다.
다른 작품에서는 또 어떤 인물들이 카메오로 나올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