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셀수도 없이 다양한 출판사들 사이에서 세계문학 전집의 타이틀을 끼고 해외명작 번역본이 많이 출시된다. 일종의 신드롬처럼 세계고전문학 읽기가 사람들의 서재를 잔뜩 채우고 있다. 하나같이 수려한 디자인도 소장가치에 한몫 더 하고 있는건 사실일 듯 싶다. 하지만 책 겉표지 뿐이겠는가. 해외 고전문학이 지금까지 연명해 오면서 무르익은 문학적 정취의 깊은 맛은 값으로는 헤아릴 수 없는 감동을 줄 터이니. 그러고 보면 한국문학을 전문적으로 내는 출판사가 많지는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아니, 최근 많이 출간되는 신예작가들의 작품말고. 세계'고전문학'의 흐름처럼, 한국 '고전문학'말이다.














 민음사를 비롯해 몇개의 출판사에서 한국 소설명작선을 비롯해 작가별, 시대별 문학전집을 낸 기록이 있다. 개인적으로 그 중에서도 문학과 지정사 출판사가 가장 요동없이 한국문학의 정취있는 역사를 계속 연장해 주고 있는 듯한 느낌이 있다. 전집형태로 계속 출판을 이어나가는 모습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출판한 다양한 형태의 한국 소설명작선 목록을 훌터보기만 하더라도 뿌듯해 진다. 지극히 개인적인 느낌이니 양해 부탁드린다. 다른거 집어 치우고, 문학과 지성사 전집들만 다뤄보겠다.














 어떤 소설이든 삶에대한 근본적인 물음표가 달려있다. 작가는 그 각자의 방식으로 그 물음을 희극적으로, 비극적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때로는 인물을 헤어나올 수 없는 내재적 고뇌 속에 빠뜨리거나, 자연을 통해 지나온 세월의 그릇된 역사를 짚어보기도 한다. 가족과 가족간의 사소한 일들로, 연인사이의 파르르 떨리는 잎사귀같은 감정의 울림들로도 함의한다. 이 세상 모든 것들이 이야기가 되고, 소설이 된다. 세상의 모든 것들을 그 어떤 악의와의 결탁없이 작가의 솔직함으로 관조한다. 그 관찰과 끈임없는 자기 자신과의 투쟁들이 역자를 일궈냈고, 그 속에서 문학은 꽃피웠다. 세월이 지나서 고전문학을 본다는 것은 결코 지나온 역사로의 회귀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단어와 문장들이 모여 울리는 두근거리는 소리. 그 수십년 전의 숨소리를 듣는 것이다. 문득 역설적으로나마 심연을 울리는 글을 올리며 글을 마친다.
그 어려웠던 시절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선조들이 일군 모든 집들의 마당들이 그런 아름다움을 가졌었다. 그 마당은 대개는 비어 있지만 언제든지 삶의 이야기로 채워졌다. 어린이들이 놀든, 잔치를 하거나 제사를 지내든 그 공간은 늘 관대하게 우리 공동체의 삶을 받아들였고 그 행위가 끝나면 다시 비움이 되어 우리를 사유의 세계로 인도했다. 그게 불확정적 비움이었고, 우리 선조들이 만들어 우리에게 전한 아름다움이었다. 그런 아름다움을 버리고 서양의 미학을 좇으며 마당을 없앤 지금의 우린데, 서양인들은 그게 궁극적 아름다움이라고 다시 우리 선조의 마당을 찾으니, 이 황망함을 어떻게 하나. -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마당 깊은 집, 그 ‘불확정적 비움’의 아름다움 p.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