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학교>라는 메인 타이틀로 6권의 '인생에 대한 지침서'가 시리즈로 나왔다. 시간/세상/정신/일/돈/섹스 라는 여섯개의 테마로 다른 6명의 학계, 문학계의 저명한 인물들이 탐구하고 저술했다. 어쩐지 통일성이 없는 테마들이면서도 '인생'을 다루는데 결코 가볍게 생각 할 수 없는 키워드들로 잘 구성하였다.. 













 톰 체트필드가 쓴 <인생학교 시간>은 산업화 속에서 시간까지 디지털로 변모하고 있는 이 시기에 대한 시간론을, <인생학교 세상>, <인생학교 돈>에서도 각기 다른 작가들이 키워드를 가지고 이야기 한다. 작은 것들로 이루어져 이 사회라는 공간을 이루듯 세상에의 가장 작은 것에서 톱니바퀴처럼 서로 연결 되는, 궁극적으로는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바꾸는 방법에 대해 고민한다. 또한 우리의 일상적 스트레스로 자리잡고 있는 돈에 대해서 약간은 다른 시선을 제시한다. 














 <인생학교 섹스>는 우리나라에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작가인 알랭드 보통이 집필했다. 때문에 그런걸까. 여섯권중 판매량이 가장 많다고 한다. 더욱이 알랭드보통 특유의 철학적 관점에서 섹스라는 행위가 포괄하고 있는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 여섯권중 유일하게 금새 읽어버린 책이기도 하다. 이어서 <인생학교 일>, <인생학교 정신>도 출간 되었다. 같은 제목에서 다루는 약간은 다른 키워드들이 공통적으로 수렴하는 한가지는 행복이 아닐까 싶다. 다른 당위들로 잊어버리고 있던, 어쩌면 많이 왜곡되어 왔던 행복의 가치를 다르게 정의해 볼 수 있는 시간두고 곱씹어볼 시리즈가 아닐까 싶다. -ozwonsuv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