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an Sontag수전손택/1933년 1월 16일 (미국) - 2004년 12월 28일

 그 어떤 과장도 없이 이야기 하자면 21세기는 바야하로 '이미지'의 시대다. 문학과 회화예술이 도달하지 못하는 '극 사실적'인 현실을 반영한다는 착각 속에서, 사람들은 이미지의 사실관계를 '이미지 특유의 사실성'에 기대 받아드리고 있다. 근본적인 문제의식에 대한 고찰의 부재로써, 이미지가 만드는 사회의 왜곡된 선입견과 위선과 한계들을 배제하고라도 하루의 시작부터 마지막 까지, 마주하는 이미지들이 너무 과도하다. 텔레비전을 틀면 나오는 지구 반대편의 폭탄테러 소식과, 사건현장을 피폐한 모습으로 촬영한 자료화면을 내보이는 뉴스앵커들의 목소리는 이미지의 사실성에 기대어 설득력을 보장받는다. 고로 시청자를 확보하고, 광고효과를 얻는다. 기업은 더 상생하며, 대중들에게 조금더 자극적인, 조금 더 사실적인 이미지를 제공한다. 그런 이미지의 바다 속에서 측면과 사실의 왜곡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이미 그렇게 되어 버렸다.














수전손택. 미국출신의 에세이 작가이자, 소설가, 예술평론가, 연극제작자, 사회운동가등 손으로 나열할 수 없을 정도로 생존에 다양한 사회적활동을 해왔다. 뉴욕에서 태어나 15세의 나이에 버클리대학교에 입학한 뒤로 하버드 철학박사 학위를 얻기까지 수전손택이라는 인물은 얼마안되 세기의 주목을 받게된다. <해석에 반대한다>와 <캠프에 대한 단상>이라는 글로 손택의 이목은 주목받기 시작한다. 예술을 고정적인 해석의 개념이 아닌, 예술 그 자체의 예술로 받아드려야 한다는 이론으로, 기성 평론가와 예술가 들에게 다른 예술 철학의 관점을 제시한다. 

 그 이후 베트남전 참전, 아메리칸드림등 일부 미국 보수 진영의 이념에 문제제기를 하며, 사회적인 문제에 까지 직접적으로 참여한다. 셀수도 없이 다양한 단체들에서 위선과 왜곡된 국가의 만행과 외교정책들을 비판하고 실질적인 참여로 세상을 진일보하기위해 노력한다. 철학박사 출신으로써 논문형식의 글을 계속해서 출판하며 문학계에서는 가장 근본의 문제의식을 판단하는 작가로 명성을 높히게 된다. 하지만 결코 전문용어와 미사어구를 남용하며 '그 들'만의 지식에서 머물지 않는다는 점이다. 수전손택의 글은, 누구나 쉽게 하지만 가장 핵심을 집어내는 글쓰기로 독자들을 사로잡는다. 어렵지 않다는 것이다. 














 9.11 사전으로 비롯된 미국의 대테러선언을 비판한 <진정한 전투와, 공허한 은유>로 미국 국민들에게 선과악이라는 이분법을 이용해 마약이나 전쟁처럼 끝이없는 세력유지용 '은유'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자본주의의 개념으로 주변 신생국가들을 아직도 근식민지의 시각에서 소유하려고 하는 미국의 자행과, 그 행위를 정당화 하기위해 대중들을 다른 개념의 은유로 설득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전쟁의 이미지가 인간이 타인의 고통을 무뎌지게 만들고 가장 근본적인 사태의 본질적인 심각성을 망각시킬 위험이 있듯이 국가가 자신들만의 당위를 행위를 정당화 시키는 위험에 대해여 매우 적확하게 비판한다. 








 그녀의 활동과 집필들이 21세기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확실히 가늠하긴 힘들다. 하지만 그녀가 생각하는 세계화의 문제와 그 권력의 남용들 속에서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 왜곡들을 그대로 흡수하며 받아드리고 있는지. 또한 이미지와 문학에 대한 철학 관점이 결국 범 사회적인 문제의식으로 발전할 수 밖에 없었는지 고찰해보는 이런 일들이, 결코 그녀가 생전에 투쟁해 왔던 헤아릴수 없는 전쟁들이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 할 수는 없을 것이다. 타인의 고통이 스펙터클한 오락거리로 받아드려지고 있는 이 세대에서 그녀의 기록들은, 그 자체로 가장 숭고하고 존엄한 선언이었다고 생각한다.-ozwonsuv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