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미니즘의 도전 - 한국 사회 일상의 성정치학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설프게나마 페미니즘관련 저서를 읽고 생각을 가다듬는 사람이다. 나는 치열하게 고민해보지도, 논리정연한 글을 써본 적은 없지만, 페미니즘관련한 책을 읽을 때마다 공명이라고 해야할만한 무언가가 느껴진다.
정희진 씨가 몇몇 칼럼을 통해서 보여주는 예리한 통찰력과 도발적인 문제제기에 늘 감탄하는 바다. 특히, 리 사회에서 나이듦이 돈과 성에 의해 추함과 중후함(중후함은 남성형형용사가 아닐까? 여성형형용사는 떠오르지 않는다..)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는 연령주의에 관한 글이 인상깊었다. 여성은 소녀에서 아가씨로 아줌마로, 할머니인 채 죽는다. 남성은 소년에서 총각/청년으로, 아저씨로 할아버지인 채 죽는다. 이러한 생애주기는 어디서 비롯한 것일까? 같은 연령대임에도 불구하고 아가씨와 총각/청년의 차이는 무엇일까? 누군가에게는 나이듦이 권력에로 이끌지만, 누군가는 추함-노파로 이어진다. 이러한 것들은 젊은이들의 문화/청년/젊음이 주류가 된 사회, 현대의 생산성위주의 사회가 만들어낸 문제라고 생각한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두 개의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 여성학자로서 글쓰기에 좀 더 세련되어지셨음한다. 좀 더 쉽게 그리고 과격하게.. 앞서 남기신 어떤 분은 그녀의 글에 어느 정도의 전제가 있고, 이러한 점이조금은 폭력적이지 않냐고 하셨다. 여성학자는 여성적 글쓰기나 말하기를 하지만 동시에 기존 사회와 소통하기 위해서는 남성적 글쓰기나 말하기를 할 수 밖에 없다. 이처럼 두 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정희진 씨께 좀 더 세련됨을 감히 요구하고 싶다. 왜냐하면, 아직 여성적 글쓰기는 서두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공명을 통해서 전해지는 무언가의 단계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에게는 불필요한 지적을 받아야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