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많은 학생들이 그들이 좋아하는 과목이 국어, 수학, 역사, 과학, 외국어 혹은 그 무엇이든, 그들이 그 과목을 잘 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포기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은 그 과목을 택하지 않거나 중간에 포기한다. 성공적 지능을 위한 교수 방법은 이런 학생들에게, 다른 방법으로는 하기 힘든, 성공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동에서 처벌의 강력한 효과는 1세기가 넘도록 동물 실험에서 증명되어 왔다. 하지만 인간 행동에서 처벌의 효과는 여전히 의문스러우며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Axelrod & Apsche, 1983). 인간 행동을 조절하기 위해 처벌이 필요할까? 처벌은 분명한 단점을 지닌다. 강한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부작용이 다양하고 예측 불가능하며, 공격성을 일으킨다. 강한 처벌은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를 잔인하게 만들수 있다. 다른 사람을 처벌하는 것은 흔히 분노와 좌절을 표출하기 위한 정당화에 불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은 관계를 맺는 존재이며 목소리를 갖고 태어납니다. 따라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할 능력을 갖고 있으며 서로에게 호응하면서 관계 맺으려는 욕구를 지니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회과학에서의 연구는 언제나 잠정적이고 불완전한 것이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사회과학적 연구는 경제학, 사회학, 역사학을 정밀과학으로 변형시키려는 오만한 주장을 내포하고 있지 않다. 그 연구는 대신 끈기 있게 사실과 패턴을 찾아내고 그것들을 설명할 수 있는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인 작동 원리들을 차분하게 분석함으로써 민주적인 토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그 토론의 관심이 좋은 질문들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연구는 토론의 용어들을 끊임없이 다시 정의하고, 선입견이나 사기를 폭로하고, 모든 것이 비판적인 검증을 받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내가 보기에는 이것이 바로 사회과학 연구자를 비롯한 지식인들, 그리고 누구보다도 연구에 바칠 수 있는 시간을 더 많이 가진 (그리고 그 연구에 대한 보수까지 받는 귀중한 특권을 가진) 운 좋은 시민들이 할 수 있고 또 해야 하는 역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싸움이 시작되었으니
밥부터 먹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