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을 끊어내기로 했다 - 내 발목을 잡는 가족에게서 벗어나 죄책감과 수치심에 맞서는 심리학
셰리 캠벨 지음, 제효영 옮김 / 심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은이 : 셰리 캠벨


차례


마주할 용기


이 책은 해로운 가족과의 관계는 단절해도 된다. 그래도 된다!라고 말하는 책이다.

물론 이 책을 읽으며 가족 관계에 국한에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 이외의 사람과 만들어지는 모든 '관계'에 대해서 생각을 해 볼 수 있는 책이다.

그래서, 결국 이렇게 말한다.

일단 해로운 관계는 끊어도 된다는 결론에 이르기까지 어려움과 죄책감, 수치심의 극복에 대해 나오고, 과연 나에게 해로운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똑바로 알아차리라고 말한다. 그리고, 불완전한 내가 나를 돌보고 다른 이와 관계를 맺을 때 어떻게 해야 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이야기를 통해 알려준다.

제일 중요한 건, 나를 믿고 나 자신과의 관계를 잘 만들라고 한다!

인생을 살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지만 가족이라는 이름하에 씻을 수 없는 학대를 당하고 죽임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 관계는 과감하게 끊어내고 자신의 인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이 책은 여러 가지로 설득하고 용기를 준다.

어떠한 관계라도 자신이 소멸하고 지속된 학대를 견디며 유지할 이유는 단호히 없다고 말한다.

최근 사회면에 이슈가 되는 아동학대, 존속살인, 이별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연인 혹은 배우자를 살인하는 뉴스, 부모가 아이를 죽이고 자신은 자살하는 끔찍한 뉴스를 볼 때마다 이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해로운 관계를 인지했을 때는 잘 끊고 한 인간으로 잘 살아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다.

당사자도 모르게 가스라이팅 당하고 학대당하는 사람들을 사회적인 시스템에서 잘 걸러주고 구출했다면 그 사람들이 또 상담이나 정신건강의학과의 진단을 통해 전문적인 도움을 받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든다.

오늘 우연히 우리, 집이라는 드라마를 보게 되었다. 대충 보니 가족이지만 표면적인 가족의 형태만 유지되고 쇼윈도 가족이었다. 남의 시선을 중시하며 그럴싸한 가족의 모양을 자랑하지만 속은 썩은 가족, 기본적인 자기 기만으로 행복함을 연기하는 가족들, 악의 행태를 묵인하는 가족들이 나오는데 그런 해로운 가족들의 기본값은 "가족은 지켜야 한다."라는 잘못된 신념으로 자기들만의 믿음과 사랑 없이 이기심만 채우고 모래성 같은 가족성을 쌓는 모습이다.

온갖 위선과 허례, 가식이 보이는 사람들을 보게 된다. 그런 사람들을 볼 때마다 괴롭지만 참아야 되는 것이 사회생활이다. 잠깐씩 보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경계를 분명히 하고 나를 지키고 지속적으로 나를 죽이는 관계는 빨리 끊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가족 문제로 힘든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좋겠다.

이 책과 더불어 존 브래드 쇼의 가족도 읽어보면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