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딴생각에 빠진 당신에게
홋타 슈고 지음, 정지영 옮김 / 밀리언서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은이 : 홋타 슈고

일본 메이지대학교 법학부 교수이며 언어학 박사이다. 법률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언어학, 심리학, 법학, 뇌과학 등 다양한 학술 분야의 지식을 융합해 연구 분석하고 있다. <안다고 다 말하지 말고 들었다고 다 믿지 마라>,<따돌림으로부터 내 아이를 지키는 방법> 등의 책이 있다.

차례

집중하지 못하는 하루의 원인, 하루를 집중하기 위한 준비, 최고의 하루를 만드는 5단계, 집중력을 단번에 높이는 5가지 습관, 하버드대학이 내높은 인생의 답, 오늘 하루를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람의 조건




집중력 찾아서 하루를 충실하게 보내기!



이 책은 머리말부터 좋은 말 범벅이다. 유명한 사람들의 현재를 중요시하는 명언들이 쭈르륵 소개가 되어 있는데 다 마음에 담아 두고 싶은 말이다. 그중에서도 좋은 말 몇 가지를 소개하자면,

"시간 낭비만큼 커다란 손해는 없다" - 미켈란젤로

"인생이란 지금 오늘을 말한다" - 데일 카네기

"오늘 하루는 내일 보다 2배의 가치가 있다" - 벤저민 프랭클린

새해를 3일 앞두고 있는 지금, 굉장히 마음에 와닿는다. 시간이 정말 소중하고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주어진 유일한 것이라는 말에 무한 공감하며 이 책을 펼쳐 보았다. 모든 인간에게 공평하게 주어진 이 시간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우리 삶이 달라질 것임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누구나 죽음을 맞이하기까지 살아있는 동안은 24시간의 시간을 잘 보내야 한다. 24시간을 효율적으로 잘 사용하는 방법은 지금 눈앞에 놓인 일에 그저 집중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NOW, HERE!! 지금, 여기에서 집중하는 것이다. 눈앞의 일에 집중하면 삶의 행복도가 높아진다. 이것은 하버드대학교의 심리하자 매튜 킬링스워스와 대니얼 길버트의 연구로 밝혀졌다.

행복에 필요한 것이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무언가에 집중하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생각이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 몰입감, 충실감, 만족감, 행복감을 느낀 사람은 잘 알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집중을 방해하는 요소가 많고, 우리의 정신을 사로잡히게 하는 것들이 많다. 그 많은 방해 요소를 제거하고 혹은 스스로가 시간을 통제하지 않으면 결코 집중할 수 없다고 말한다.

"인생의 선택은 동전 던지기로 결정하더라도 진행하는 편이 행복하다" (시카고대학교 스티븐 래빗의 실험)

- 시도라도 하자! 머뭇거리기엔 시간이 없다. 어떤 극작가가 자신의 비문에 이렇게 새겼다고 한다. "이럴 줄 알았다. 우물쭈물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 " 굉장히 위트 있으면서 통찰력 있는 말이다. 한마디로 결정하는 데 시간을 너무 끌지 말고 일단 실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느끼게 한다.

"작업이 2.8초 중단되면 실수가 발생할 확률이 2배가 되고, 4.4초 중단되면 4배가 된다." (미시간주립대학교 앨트먼의 연구)

- 이 말 굉장히 공감한다. 조각 시간을 내어서 매일 뭔가를 하다 보니 다시 부팅하는 시간, 즉 집중하는 시간이 걸려 중단했다가 다시 하는 작업의 지연 속도를 내가 많이 체감하고 있다. 내가 일하는 환경에서는 진득한 집중 시간이 부족하다. 매일 끊임없이 변수가 작용하는 일이 생긴다.

" 부정적인 뉴스를 보면 뉴스와 관계없는 개인적인 걱정거리까지 과대하게 느껴져서 비관적으로 변한다." (서식스대학교 존스턴과 데이비의 실험)

- 요즘 안 좋은 뉴스를 접하면서 괜히 마음이 쓰이고 비통한 감정이 드는데 나의 묵은 감정까지 올라와서 슬픔이 전염되는 것을 보고 비관적인 생각으로 퍼지기 전에 뉴스를 꺼 버렸다. 뉴스는 거의 모두가 부정적인 소식이다. 내가 우울하거나 힘들 때는 뉴스를 안 보는 게 나을 수 있다.

" 사람은 긴급도가 높고 간단히 할 수 있는 일을 우선시한다. " (존스홉킨스대학교의 주의 실험)

- 일 말도 상당히 맞다. 긴급하고 빨리 해치울 수 있는 것부터 하게 되는 것 같다.

"해야 할 과제를 미루면 학업 성적이 떨어진다" (루마니아 바베시볼리야이대학교 카르멘의 조사)

- 당연한 말인데 미루면 성적이 떨어지는 것을 알고서도 미루는 습성을 못 버린다. 성적은 정해진 시간에 성과를 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을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사용하지 못하면 성적이 낮게 나온다.

" 사람을 행복하고 건강하게 만드는 요인은 집안, 학력, 직업, 환경, 연봉, 노후자금, 돈 등이 아니라 질 좋은 인간관계다. " (하버드대학교 조지 베이런트의 연구)

- 이것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왜냐하면 돈이 없으면 질 좋은 인간관계 맺는 것이 과연 매끄러울까 생각이 든다. 다른 사람에 아무것도 줄 수 없는 사람은 의존적으로 될 수밖에 없고 주종 관계로 변질될 염려가 있다. 이 말은 이렇게 바꾸고 싶다.

" 사람을 행복하고 건강하게 만드는 요인은 집안, 학력, 직업, 환경, 연봉, 노후자금, 돈만 있어서는 안 되고 질 좋은 인간관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 아무리 돈 많은 부자도 마음이 힘들어, 자살을 할 수 있다. 인간관계보다 신경 써야 하는 것은 내가 나다움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다. 그래야 다른 사람과 올바른 관계를 맺을 수 있다.

* 얽히고 싶지 않은데 무시할 수 없는 사람에게 대처하는 법 : 선을 넘지 못하게 경계를 치는 말과 존댓말로 마음의 경계를 유지한다.

* 사람은 권위를 가지면 공감력이 부족하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는 관용을 베풀면서도 타인의 행동에 대해서는 엄격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네덜란드 틸뷔르흐대학교의 라머스 교수 팀의 연구)

- 완전 공감하는 말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존재를 인정해주는 사람, 신뢰를 주는 사람, 호의를 베푸는 사람을 좋아한다. 반면 나를 인정해주니 않는 사람, 나에게 적의를 품고 나를 신뢰하지 않는 사람, 안 좋은 태도를 보이는 사람을 싫어한다. 그리고 나에게 좋은 감정을 심어준 사람에게 의리를 지키고 은혜를 갚으려고 한다. 이것이 '호의의 보답성'이다.

이 책을 끝까지 잃다 보면, 평소 나의 지론이 담겨 있고 그간 나의 생각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서 잔소리 대신 이 책을 건네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집중하지 못하고 멀티태스킹 하는 청소년, 혹은 현재에 집중하지 못하고 자꾸 딴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읽으면 유익한 책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오늘도딴생각에빠진당신에게

#홋타슈고

#밀리언서재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집중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