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종이 2
조정래 지음 / 해냄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저자 : 조정래

설명이 필요 없는 한국의 문학 작가.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작품 집필.

이 책의 메시지

정치, 종교도 모두 돈을 향한 목적이 있다는 메시지. 돈을 주제로 한 인간 삶의 이야기들. 물질 만능주의 속에 황폐화된 비인간화 현상. 굉장히 포괄적이고도 할 말 많은 주제인 돈을 소재로 한 소설. 돈 앞에서 우리는 어떻게 균형을 잡고 살아가야 하는지 생각해 보는 소설.

돈돈 거리고 살아봤자 한 푼도 못 가지고 이 세상 떠난다.

욕심, 탐심 버리고 인간답게 살자.

돈 때문에 인간이기를 포기하지 말고,

돈관리 잘해서 돈 때문에 힘들어하지 말고,

돈 때문에 망가진 삶이 아니라, 돈을 가지려는 그 욕심 때문에 모든 문제가 발생된다. 더 가지려는 욕심.




<두 친구의 복수전>

박경숙 아들이 카지노로 재산을 날려먹자 충격으로 쓰러짐.

나명희, 김선자, 정미옥

배승우, 이동욱은 술을 먹고 건물로 돌진한다. 왜 그럴까?

<오중 찍어 먹는 모정>

윤민서 유한서와 사촌

윤한서 아버지의 재혼으로 인한 유산

윤진서 둘째 아들

윤송희 큰딸

윤주혜 작은딸

윤한서 아버지는 자신의 당뇨병 체크를 위해 자신의 오줌까지 혀로 맛보는 새 여자와 재혼을 결심하고 자년들과 맞닥뜨려 이야기한다.

늙어서 하는 재혼의 제일 걸림돌은 유산 상속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자녀들이다.

<이런사람, 저런사람>

손채경변호사. 재벌 2세에게 성추행을 당한 변호사. 이태하를 찾아간다.

민노진 기자의 편지.

손채경변호사는 100억을 위자료로 받고 10억은 이태하와 민노진 기자에게 준다.

<인간의 인간다운 길> 김혜은, 한지섭, 이태하, 황연주(이태하의 처)

애플망고를 팔아 장학 재단을 만들고 싶다는 한지섭의 꿈.

소설은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문제의 제시라고. -149쪽

이 책을 읽으며 뭐 하나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 답답하기도 했지만, 이 책 대화 속 이야기처럼 이 소설도 물질만능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문제의식을 건드리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게 사람들의 머릿속에 돈에 관한 자신의 이야기를 정리해 보는 것. 다시 생각해 보는 것으로 이 책의 가치를 발휘한다고 생각한다.

각각의 에피소드에서 나오는 돈에 관련된 이야기.

모든 법정 소송은 돈이 99%라고 하는데 맞는 것 같다.

이혼도 실제 안을 들여다보면 성격 차이가 아니라 99%가 돈 때문에 하는 것이라고 누가 했던 말을 주워들은 기억이 있다.

<개보다 못한 사람>

전진혜는 재벌 할아버지 회장의 몸 수발을 15억을 받고 한다. 몸은 늙어서 자신이 자기 몸조차 가눌 수 없지만 성욕은 몸을 샅샅이 만지고 탐하는 것에서 충족시킨다. 전지혜는 재벌 할아버지의 반려견을 돌봐주는 조건으로 반려견이 죽으면 반려견을 돌 본 전진혜 해피 반려견 주인에게 가는 조건으로 전 재산을 남긴다는 유언을 받는다. 그 상속을 약속한 뒤 열흘 뒤 회장은 세상을 떠난다. 전지혜는 개보다 못한 취급을 받는다. 개를 돌보는 사람이지만 상속권은 개한테 있는.

이 챕터에서는 유명한 그룹 회장님이 생각났다.

<oo은 영원한 o의 노래>

황희주, 황연주 등장의 대화들.

이태하의 아버지: 학교 교장 선생님으로 퇴직하고 유산으로 책 몇 백 권을 물려받은 이태하. 아버지의 정신적 유산으로 꼿꼿하고, 당당하고 꺾이려고 하지 않는 마음으로 변호사 생활을 한다는 서술이 있다.

이태하 자녀들의 유학 문제로 돈이 필요한 상황인데 이태하는 어떻게 돈을 마련할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는 가운데 2권이 마무리된다. 성공 보수 10억을 받는 사건을 수임할 것인가?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결론, 소설은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문제의 제시이다. 작가는 독자들에게 문제를 제시하고 그 답은 역사에 요구하고 있다고 말한다.

나도 이 책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이 소설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이태하의 심리 변화이지 않을까 싶다.

여태껏 꼿꼿하게 살아온 그도 자녀 둘을 유학 보내기 위해 돈이 되는 사건을 맡고 실용적인 삶을 살아갈 것인가? 노선을 바꿀 것인가? 그 점이 궁금해지게 만드는 2권의 마무리다.

2권이 끝이 아닐 것 같은 생각이 드는 마무리이다. 돈에 관한 생각은 시시때때로 변하는 생물 같아서 이 책도 그런 가능성을 두고 살아 숨 쉬는 듯 일상의 사건으로 제시하고 있다.

돈 때문에 살고, 죽고. 돈으로 귀결되는 삶이 다는 아니지만, 꽤 돈에 대한 지배력이 강한 사회에서 어떻게 돈에 대한 철학과 가치관을 갖고 살아야 할지 생각해 보게 하는 책이다.

돈이 없어 죽고 싶지 않다. 많은 돈을 버는 것은 이 생에서는 물 건너 간 것 같은 느낌이고 생계가 쪼들리지 않을 정도만 살고 싶은 것은 최소한의 욕구인 것 같다. 아닌가? 돈으로 궁핍한 삶을 살고 싶지는 않지만 돈을 좇는 삶을 살고 싶지는 않다. 사람 위에 돈 없다!!!





#황금종이2

#조정래

#해냄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