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도 모르던 뉴메릭의 수학 정복기 지식 올리고 1
박병철 지음, 홍그림 그림 / 올리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앞표지

이 책의 주인공 캐릭터는 고양이입니다. 눈이 똘망 똘망 똑똑 박사처럼 명석해 보이네요. 왠지 하나를 가르쳐 주면 열을 알 것 같은 눈망울.

뉴메릭이 뭔가를 세기 시작하면 작대기를 차곡차곡 그려 표시합니다. 계속 작대기를 그리니 세기가 힘들어집니다. 수란 개념이 나오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도출하는 이야기 방식이 마음에 듭니다. 다양한 수의 세기가 고대 이집트, 그리스 숫자, 로마 숫자까지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통용되는 아라비아 숫자(중동)까지 나오게 되는 과정을 책에서는 보여줍니다.

그 과정에서 스토리로 수의 세계를 읽어주며, 파미나 숫자 노트 형식을 통해 왜 그렇게 숫자가 나왔는지 깔끔하게 정리해 줍니다. 왜 십진법이 나오게 되었고 십진법이 무엇인지 잘 설명해 줍니다.



파미나 숫자 노트 : 십진법



파미나 숫자 노트 : 약수, 완전수, 친화수

수에 관련된 상식도 알 수 있어요. 오랜만에 익숙했던 개념을 한 번 더 짚어주니 정리가 되네요. 수학을 공부할 때는 이렇게 수에 관련된 개념 정리가 명확히 되어야 다음 진도가 나갈 수가 있어요. 용어부터 확실히 알아둬야 되겠죠?

그리고, 이런 교과 연계된 수학 지식책도 어른이 보면 상식이 늘어요. 몰랐던 휴일의 법칙을 알게 되었어요. 수학이 이렇게 실생활에 적용되고 해석되어 지니 참 재미있게 느껴집니다. 어려운 수학도 있지만, 이렇게 우리 생활에서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필요한 수학 원리도 있어요. 새삼, 수학을 공부해야 되는 이유를 알게 되네요. 제가 어릴 때 이런 이야기 수학 책을 읽었다면 수학에 더 흥미를 갖게 되었을 것 같아요. 피상적이고 개념만 툭 던져진 수학 공식을 암기하는 것은 저에겐 그다지 공부할 필요성을 못 느끼게 하는 무채색의 학문으로 다가왔거든요. 어찌 되었건, 요즘 수학 관련 지식책은 무작정 수학 공부에 필요한 개념만 주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수학이 나왔고 이런 곳에서 쓰이고 이렇게 요긴하니 너도 한번 알아볼래? 하며 호기심을 일으키니 좋은 것 같아요.




현충일 찾아보기

2024년의 현충일은 목요일입니다!

2024년의 연휴는 연속 일이 없어서 대박은 아니네요.



직접 2024년 현충일을 찾아보았어요.



삼식이와 삼순이의 월급 대결



모든 수가 곱셈의 교환법칙을 만족하기에 월급이 같다.

뒷부분에 나오는 수학 관련 생각거리도 재미있어요. 수학이 아닌 것처럼 노크하고 생각하게 만드는 재미있는 문제가 실려 있어요.

저는 수학 문제집이 아니라 이런 스토리 수학 책을 보면 수학에 대한 호감도가 막 상승하고 수학 공부하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것 같아요. 쉽고 재미있게 읽혀서 어린이와 같이 읽고 역으로 제가 질문을 해 봤어요. 그랬더니 감으로 수학하는 어린이는 이해도 빠르고 어른보다 더 많이 알고 있는 부분도 있었어요. 어떤 책이건 같이 읽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매개체를 공유한다는 것은 즐거운 것 같아요.

어른이 읽어도 재미있는 스토리 수학 책 잘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