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스쿨대디 - 내가 선택한 아빠 브랜드
김용성 지음 / 소나무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연한 계기로 나에게 선물과 같은 책이 주어졌다.

이 책을 받아 들고 생각했다. 과연 이걸 할 수 있을까? 

물론 우리 남편은 홈스쿨대디가 절대로 될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책을 읽게 된 이유는
최근들어 전혀 책을 읽지 않던 남편이 내가 권해준 <아이를 변화시키는 아빠의 말> 이라는 책을 읽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책을 읽기시작한 남편은 사춘기를 겪고 있는 딸아이들에게 책의 내용을 적용해서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 책을 읽게 되면 좀더 욕심나는 남편이 되지 않을까 싶었다.
물론 아직 우리 남편은 읽지 못했다. 우선 엄마인 내가 읽어 보고 싶었다.
이 책을 쓴 김용성님은 서울대학교 졸업후 경영컨설턴트로 일하면서 기업의 인재양성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면서,
세 아들을 홈스쿨링으로 키우고 있는 아빠다.
학교를 즐기지 못하고 간신히 견디는 아들을 일년간 안쓰럽게 지켜보다 2013년에 아들 셋 모두 초등학교를 그만두게 한 용기있는 아빠이기도 하다.
헌신적인 아내 덕분에 홈스쿨링 7년차에 둘어섰고, 앞으로도 6년을 더 할 예정인데 홈스쿨링에 관심이 있지만 주변에 참고할 가정이 없어 주저하는 독자들에게
용기를 주고자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이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가장 내 마음을 흡족하게 했던 것은
아이의 미래를 엄마에게만 맡겨두지 말고
아빠들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리더가 되어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어디서나 아이들 육아나 교육은 대부분 엄마 혼자서 책임을 지는게 다반사인데
아버지의 역할을 강조하며 , 이 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아빠의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속시원히 풀어주었다.
정말 이책은 엄마도 읽어야 되지만, 아빠들이 필히 읽어봐야할 책이다.
물론 이 책에 나온대로 아이들이 공교육에서 홈스쿨링으로 모두 바꾸라는 얘기를 아니다.
그건 각자의 형편과 사정대로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저자의 교육철학과 마인드가 일만하는 아빠들에게 상기 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특히 집에서 남자 아이들을 키우면서 엄마가 얼마나 이해하기 힘들고 곤란한 상황을 많이 겪는지 알아야한다.
엄마는 도무지 아들을 이해하기 힘들때가 많다.
그런 면에서도 아빠는 꼭 가정안에서 교육의 안내자가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p.68) 교육이란 결국 사실의 학습이 아니라 생각하는 능력을 키우는 훈련이다.
(p.97) 인생을 바꾸는 건 결심이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입니다.
(p.101) 우리가 주도적으로 인생을 살지 않으면, 누군가가 내 인생을 조종할 것이고 그러면 필경 멀미가 날 거라는 거지요
(p.107) 많은 학생들이 마치 평생토록 학교에만 있을 것처럼 안일하게 생각합니다. 학교로부터 독립한 후 어떤 삶을 살아갈지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아요.
(p.122) 변화를 꿈꾸는 사람은 먼저 과녁을 정합니다. 그리고 과녁을 뚫어져라 바라봅니다. 그리고 활시위를 당깁니다. 여러분의 과녁은 무엇인가요?
(p.147) 심심하면 아이들은 책을 읽습니다. 정말입니다. 해보세요. TV도 PC도 스마트폰도 없어지면 아이들은 책을 읽거나 나가 놉니다.
           그러니 아이들이 심심하다 투정하면 이렇게 말해보세요.
           "지루해? 나보고 어쩌라고. 그 지루함을 없앨 무언가를 찾아봐. 그게 네가 할 일이야."
(p.148)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p.152) 수십억의 인구가 자신의 재능을 사용하지 않고 재능의 유통기한이 지나서야 자신의 용기 부족을 후회하면서 삶을 마감합니다.
          "가장 짧은 답은 그 일을 해보는 것이다"
(p.161) 건강한 습관을 갖자. 세아들에게도 건강한 습관을 가르치자
(p.165) 습관이 몸에 완전히 밸 때까지 반복하는 건 고달프지만, 그 열매는 달달합니다. 제가 세 아들에게 습관 교육을 강조하는 이유입니다.
(p.168) 행운은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을 찾아온단다. 이기적인 사람에게는 누구도 복을 빌어 주지 않는 거야' 라고 말이죠.
          "인사만 잘해도 먹고는 산다"는 말, 저는 정말 믿습니다.
한 아이를 잘 길러내는 일만큼 이세상에 소중한 일이 또 있을까 싶다.
저자에게도 세아이가 있지만, 나에게도 두딸과 아들하나가 있다. 세 아이들을 잘 길러보고자 많은 육아서를 읽었지만,
뜻대로 잘 안되었다.
내가 목적의식도 교육철학도 스스로 세우지 못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내가 부족한것을 남편이자 애들 아빠가 함께 채워준다면 든든한 파트너가 되지 않을까 싶다.
내가  이 책을 읽고 전적인 홈스쿨링을 단행하지는 않을 것이지만,
아이들을 교육하는데 있어 가정에서의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 지를 깨달았다.
남편에게도 꼭 이 책을 권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