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Q84 3 - 10月-12月 ㅣ 1Q84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3권이 드디어 나왔다.
출간 되자마자 빛의 속도는 아니지만 구입했다.
1,2권의 흡입력을 기대했다.
나는 아프고 또한 읽어낼 자신이 없었다.
1,2권의 내용따위 생각나지 않지만 그냥 읽었다.
읽다보면 다 생각나기 마련이니깐.
우시카와의 등장이 두드러졌다, 너무나.
그리고 그는 허무하게 죽음을 맞이하고, 또한 숨을 토해냈다.
무라카미 답지 않게 질질 끈다는 느낌도 받았다.
4권에 대한 기대감은 날이 갈수록 무너졌다.
3권을 다 읽은 평도 기대 이하였다.
그치만 다 읽어냈다.
덴고와 아오마메는 드디어 만났다!
고양이 마을과 1Q84.
달이 두개 존재하는 곳.
덴고의 아버지 병원, 아버지의 죽음.
아오마메의 임신, 작은 것.
우시카와의 감시, 후카에리, 덴고와 아오마메의 관계를 알아냄.
그렇지만 그는 죽음을 맞이함.
선구.
4권의 선구의 실체가 밝혀지겠지.
덴고와 아오마메는 달이 한개인 곳으로 돌아왔지만
타이거의 옆 얼굴이 달랐다. 이것 또한 복선?
무라카미 하루키의 탄탄한 문장력이 왠지 긴긴긴 장편으로 갈수록
무너지진 않을까 걱정스럽다.
그리고 떠올려보는 상실의 시대와 해변의 카프카.
그는 별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또다시 실망까진 아니고,
모든 작가가 그러하듯 인물의 특성은 반복이다.
그래도 난 4권이 기대된다.
p.73 기나긴 시간을 들여 키워진 것은 그렇게 맥 없이 무無속으로 빨려들지 않는다.
p. 110
그녀는 이제 더이상 어느 누구도 상처입히고 싶지 않았다. 자신이 상처받고 싶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p.275
"직감에 대해 나는 경의를 표하지." 다마루는 말했다. "하지만 일단 자아가 이 세계에 태어난다면, 윤리의 주체로서 살아갈 수 밖에 없어. 잘 기억해두는 게 좋아"
"누가 그런 말을 했죠?"
"비트겐슈타인."
p.465
그가 느끼는 따스함은 아픔과 짝을 이루어 찾아온 것이니가. 아픔을 받아들이지 않는 한, 따스함도 찾아오지 않는다. 그건 교환거래 같은 것이다.
p.594
사람 하나가 죽는다는 건 어떤 사연이 있건 큰일이야. 이 세계에 구멍 하나가 뻐끔 뚫리는 건니까. 거기에 대해 우리는 올바르게 경의를 표해야 해. 그러지 않으면 구멍은 제대로 메워지지 않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