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고원 -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지음, 김재인 옮김 / 새물결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개의 고원- 4장 언어학의 기본 전제들

1923년 11월 20일 이라는 제목으로 시작하는 데 무슨 날을 말하는 지 알 수가 없다. 구글링을 해 보니 1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의 디플레이션이 심해진 날자라는 것 외에는 알 수가 없다. 147쪽에서 213쪽이니 얇은 책이 한 권이다. 네 개의 질문으로 각 부분을 나누어 기술했는데 3장 보다는 덜 어렵다. 하지만 매우 어렵다. 그냥 읽어서는 도무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마인드맵으로 그려가면서 읽고 있지만 이해하기 어렵다.

전체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것을 퉁쳐서 본다면 언어는 언어외적인 것과 구분하여 이해할 수 없다는 것 같다. 언어의 기본은 정보의 전달이 아니라 명령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것은 직접화법이 아니라 간접화법이라는 것이다. 언어는 기본적으로 행동을 수반하는데 그것은 언어학적으로만 규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여기에서 주류를 이루는 다수의 언어와 소수의 언어가 대립하는데 소수의 언어는 말더듬 또는 반음계와 같이 주류의 언어를 탈영토화시킨다. 3장에 이어 표현과 내용의 관계를 언급하며 각각 독립적이지만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한다. 표현의 분석은 음소와 같은 것이고 내용의 분석은 사물의 분석과 비슷하다. 명령은 비물질적 변형을 만드는데 판사의 선고가 피고에서 죄수로 만드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효력이 발생하는 시간이 항상 따른다는 것이다.

여기에서도 리좀, 다양체, 고르판이라는 개념이 자주 언급된다. 어떤 정형적이지 않은 (초선형적인?)변화가 항상 있고 그것은 복잡하다는 뜻이며 무엇인가 '되어감'과 같은 것 일게다.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풀어서 쓰기가 어려워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겠지만 예시도 친절하지 않고 워낙 좌충우돌하고 있다. 더구나 선형적이라는 말과 초선형적이라는 말, 비선형적이란는 말들의 차이도 이해할 수 없다.

그래 언어는 복잡하다, 세상은 복잡하다. 아주 미세한 것들은 확정할 수 없이 움직이고 인간이 그것을 제대로 아는 것 역시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근대 이전의 지식은 실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세변수를 제거하고 주요하게 사용되는 변수만을 동원하여 법칙을 밝혀낸다. (중력 가속도를 계산할 때 공기의 저항을 제외한다) 현대의 세계는 뉴턴의 세계에서 아인슈타인의 세계로 나아왔고 아인슈타인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던 양자적 세계로 들어서 버렸다. 양자물리학자들은 더 많은 변수의 작은 움직임도 고려한다. 그들은 인류의 어떤 측정보다도 오차가 적은 양을 계산해 내지만 이 책처럼 범인들은 이해할 수가 없다. 이 책은 인문학계의 양자역학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