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결국은 부모의 말이 전부다 - 교장 선생님이 알려주는 초등 자녀 소통법
한선희 지음 / 미다스북스 / 2024년 9월
평점 :
우리 모두는 엄마, 아빠가 처음입니다. 물론 아이도 난생 처음 누군가의 아이로 태어났습니다. 그러니까 부모도, 아이도 누구의 부모, 누구의 자식이 되어 본 적이 없는 것이지요. 초보 아빠, 엄마는 한 번의 시운전도 없이 등 뒤에 초보라도 팻말도 달지 않은 채 자식이 처음인 아이를 데리고 검은 빛의 삭막한 아스팔트 위를 내달리기 위해 톨게이트 입구로 다가가고 있습니다. 이 초보 부모는 그들이 아는지 모르는지 알 수 없지만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르는 무식쟁이들입니다. 그들은 부모가 되기 전 어떠한 교육도 받아 본 적이 없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부모에게서 배운 것을 그들의 자식들에게 그대로 가르칠 것입니다. 지금의 아이들은 밀레니엄도 한참 지나서 태어났지만 그들의 부모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아주 다양할 것입니다. 시중에는 부모와 자녀가 소통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들로 넘쳐 납니다. 그 모든 책들을 읽어보면 좋겠지만 너무나 바쁜 우리는 그중에서 옥석을 가려 읽어야 합니다.
저자는 2023년부터 오산시에 있는 광성초등학교에서 교장선생님으로 재직 중입니다. 교사, 장학사, 교감선생님을 거쳐 교장선생님이 되었습니다. 38년의 교육 전문가, 현직 교장 선생님이 한 권의 책을 가지고 우리에게 왔습니다. <결국은 부모의 말이 전부다>에서 저자는 부모의 언어를 바꾸어야 한다고 합니다. 왜 일까요? 부모가 자식에게 하는 말은 모두 사랑에서 비롯된 말이고 욱하는 화 조차도 자식 잘 되라고 하는 것인데 말이죠. 책에는 부모의 언어가 변해야 하는 이유, 자녀와의 올바른 대화 방법, 소통, 그 실수를 줄이는 방법을 살피고 있습니다. 이제부터 저자가 말하는 부모의 말이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합니다.
1. 부모의 언어가 변해야 하는 이유
우리 속담에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말이 있습니다. 같은 내용이라도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 듣는 사람이 받아들이는 기분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 1) 저자의 책에 소개된 엄마와 아이의 대화입니다.
아이: "엄마, 오늘 시험 봤는데 80점 맞았어요."
엄마: "80점이나 맞았어? 그래서 기분이 좋구나."
아이: "공부를 따로 하지 않았는데도 80점이나 받았어요."
엄마: "우와, 앞으로 공부를 열심히 하면 점수가 더 잘 나오겠는데?"
예 2) 저와 우리 자유의 대화입니다.
자유: "아빠, 오늘 시험 봤는데 80점 맞았어요."
아빠: "최빈값이 얼마야, 반 평균은 얼마고."
자유: "열심히 했는데 실수가 많았어요 다음에 더 잘할게요."
아빠: "실수도 실력이야. 100점 맞을 때까지 게임 하지 마."
아주 흔하게 발생하는 부모와 아이의 대화지만, 부모의 어떤 말이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고 배우는 일에 집중하게 할 수 있을까요?
사소한 일에 일희일비하는 것은 아닌지. 모두들 가슴에 손을 한 번 얹고 생각해 보셨으면 해요.
2. 자녀와의 올바른 대화 방법
저자는 책에서 아이와 쉽게 즐겁게 대화하는 9가지 비결을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아이의 눈높이로 대하기
질문하고 끝까지 듣기
대화를 칭찬과 감사로 시작하기
권유의 말 사용하기
질문, 경청, 공감하기
욕구를 알고 인정해 주기
긍정적으로 소통하기
나긋나긋 부드럽게 말하기
(아이가 술술 말하는 공식) 사용하기
모두 맞는 말 같습니다. 하지만 말은 쉽기만, 쉽게 보이지 않는 비결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제 자녀와 제대로 소통하는 비법도 알았으니 실천할 지 말 지 선택은 각자의 몫입니다.
3. 소통, 그 실수를 줄이는 방법
38년 동안 교육 현장에서 수 천 수 만의 학생과 부모, 직원을 대면한 교장 선생님도 소통. 그 어려움을 호소합니다. 잘난 부모들, 자기애가 너무 강한 아이들, 자신의 권익만 따지는 직원들, 저자가 그동안 마주한 현장에는 무수히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러면 소통의 실수를 줄일 수 있는 비법이 있을까요? 저자는 있다고 말합니다. 연습이라고요. 소통 연습, 연습, 연습, 연습만이 소통을 잘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당신의 아이는 행복하나요?
중세의 기사는 전쟁에서 죽을 지언정 상대방에게 무릎을 꿇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쟁을 마치고 집 앞 도착했을 때 자신을 향해 달려오는 아내와, 아이를 바라보며 갑옷의 갑주를 망설임 없이 풀어 무릎을 꿇고 아내와 자녀를 뜨겁게 포옹합니다.
학교, 학원을 떠돌다 어둠이 짙게 깔리면 지쳐서 집으로 돌아오는 아이를 위해 아이의 눈을 마주 보며 따뜻하게 부모의 향내를 전하고 싶은 분들은 이 책을 한번 펼쳐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