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3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3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렌드세터

트렌드를 읽는다는 말

한 걸그룹 멤버가 나와서 트렌디해지기 위해 노력하고 평상복에도 신경쓴다는 말을 들었다.

어느순간 선망의 대상이 되는 연예인들도 나름의 선망의 대상이 생겼다.

그건 바로 자신이 '트렌드셰터'라는 말을 듣는것.

공항패션과 그들의 일거수 일투족을 공개하며 트렌드를 유도하는 사람이 되기를 희망한다.

트렌드, 유행, 문화에 대한 강의 부분만 스쳐들었던 적이 있다.

채널을 돌리다가 우연히 보게된 장면이었는데 잘 기억은 나지 않는다.

대충 기억으로는 한시적인 흐름이 장기간 정착이 되어 변화가 생기면 문화랬나?

나는 그 때부터 트렌라는 말이 들리기 시작했다.

전에 전혀 모를 땐 들어도 귀에 들리지 않던 단어가 이후 슬슬 관심어가 되었다.

그렇게 트렌드 코리아 2012, 드래곤볼을 읽고 벌써 일년이 지나 코브라트위스트의 2013년 트렌드 책을 마주하게 되었다.

책의 구성은 전년과 같이

2012년의 흐름을 되짚고 현상을 기반으로 2013의 트렌드를 조망한다.

뱀의 해의 10대 소비 트렌드 키워드로

Citi of hysterie 날선사람들의 도시

OTL Nonsense 난센스의 시대

Bravo Scandimom 스칸디맘이 몰려온다

Redefined ownership 소유냐 향유냐

Alone with lounging 나홀로 라운징

Taste your life out 미각의 제국

Whenever U want 시즌의 상실

It's detox time 디톡스의 시간

Surviving burn-out society 소진사회

Trouble is welcomed 적절한 불편

필승의 기술인 코브라 트위스트로 앞자를 따서 쓰고 그 트렌드를 풀어간다.

신조어를 통해서 2012년을 다시 한번 훑어 보는데

역시 올해도 온갖 생소한 단어 투성이다.

날선사람들의 도시가 될 수 밖에 없는 불확실하고 두려운 사회, 그로 인해 드러나는 공격성의 또다른 표현인 유머

과거의 허무개그가 다시 돌아오듯 사람들의 감정을 자극하는 부분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이런 난센스는 세계적으로 싸이의 강남스타일의 열풍을 가져온것에서도 볼 수 있다.

각 트렌드들이 시사하는 것을 짚어주어 나처럼 읽고도 뭔소린지 모르는 사람에겐 아주 적합하다.

곧이 곧대로 듣고 팔랑귀의 대명사인 나는 듣는게 전부라고 믿는 단점이 있어

알려주지 않은것을 유추해서 알아채는 능력이 부족하다. 그런면에서 책에서 트렌드가 뭘 시사하는지 매번 알려주니

나로서는 고맙다.

도대체 이 mom들의 파워는 어디까지일까? 이번에는 스칸디맘이란다. 사회의 구성원으로 차지하는 비율이 얼마나

높길래 소비의 성향을 흔들정도인지 생각해보게 한다. 주변에서도 요즘 이런 분위기를 따라하는 사람을 봤다.

가구, 옷차림 그들의 삶의 태도나 인생관까지 은근 흉내내기도 한다.

과거에도 늘 엄마들은 최고의 부모가 되려 노력했을테고 비율적으로 최선을 다해 키우고자 노력한 부모의 자식들이

더 많을텐데도 왜 사회는 이렇게 늘 더큰 문제거리와 걱정과 불안만을 조성하는지 모르겠다.

글을 읽으면서 이 스칸디맘이 키운 자녀들이 자라서 어떤 사회를 이룰지 궁금해졌다.

소유와 향유의 문제는 미각까지 싸고 들어가는 느낌이었다. 모든 소비트렌드는 인간과 함께 하다보니 모두 연결이 된

것 같아 보인다.

미각을 탐하는 이유와 시사점을 보면서 마음 한편의 씁쓸함을 느끼게 되었다. 내가 부유하고 사치를 할 수 있는 형편이

아니라서 질투를 하는 것일지는 모르겠으나 내 삶의 태도와 견주어 보면서 반성도 하고 누군가의 식량난을 떠올리게 했다.

가장 관심이 있던 부분은 디톡스가 필요한 시간과 소진사회 부분이었다. 이 둘도 서로 관계하고 있다고 평소 생각했던

부분이기 때문이다.

어릴 때 들은 얘기로 우리나라 노동자들이 외국근로자로 나가서 근무할 때 외국에서는 "한국사람들에게 초과 근무수당을 주면 밤새 일해서 그들이 죽어버릴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초과수당을 밤새주어서는 안되다"고 했다고 한다.

그리고 덧붙어 "한국사람들에게 불가능해 보이는 과업을 주면서 이 일을 짧은시간을 주고 그 안에 끝내면 집에 가도 좋다고 하면 한국사람들은 초인적인 힘으로 해낸다"고 한다.

여기서 볼수 있는 점은 지금까지 우리가 소진될 수 밖에 없었던 우리의 삶의 태도다.

그렇게 소진되게 브레이크 없이 달려왔던 우리에게 필요해진 것은 디톡스다.

좋지 않은 소식으로 가득한 뉴스를 보며 정서적인 디톡스가 필요해 보인다고 늘 생각했었다.

현재 살고 있는 시점의 사건과 문제, 단어, 화두를 충분히 풀어내어 트렌드를 알수있게 한 책이다.

물론 이 한권이 전부를 말해줄 수 없지만 내가 사는 이 시대가 어떤지 알고 살아간다면

조금의 불안이라도 제거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특정한 대상이 정해져 있는 공포와는 달리 불안이란 정해져있지 않은 것에 대해 느끼는 것이니까

모르면 불안해지니 알고 불안을 더는게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이 될 것이다.

확실히 트렌드 코리아는 매년 기다려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