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으로 행복하라
돈 캠벨.알렉스 도먼 지음, 트리니티 영어연구회 옮김 / 페퍼민트(숨비소리)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음악치료,,뮤직테라피란 말을 들은건 8년전쯤.

아무래도 악기나 도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현실에서 적용하기는 좀 어렵겠다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이 책은 일상이 음악치료다.

나는 사실 음악을 좋아하지 않는다.

어릴 때 피아노를 배운 덕인지 커서 혼자 키타를 익혔다.

물론 학생 땐 음악을 듣고 성인이 되어서도 좋아하는 곡이 있기는 했었다.

음악이 뭔지도 모를 때 부터 클래식,가요,팝,샹송,칸초네..장르별로 늘 들었다.

어른들이 계시는 대가족이다 보니 각자 취향이 고루고루였는지 덩달아 주워 듣게 되었다.

그런에 왜 어느날 부터 나에게 음악이 소음이 되었을까?

책에서는 그 해답을 찾을 수 없다.

음악조차 소음으로 여기게 된 연유는 모르겠으나

책을 다 읽을 즈음이면 좋은 음악을 듣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책을 읽는데 치중해서 저자가 골라주는 각종 사이트의 추천곡은 아직 들어보지 못했다.

몇몇 군데 내가 필요해서 접착메모지를 붙여놓은 곳이 있다.

음악은 하루의 시작을 어떤 기분으로 열어줄지를 좌우한다.

사람에 따라서 다른 형태의 모닝콜이 필요하다. 얕은 잠을 자는 사람. 청소년, 깊은 잠을 자는 사람이 모두 다르다.

소음에 대해 나온 부분을 보면 우린 소음속에서 살고 그 소음을 무의식적으로 계속 받아들이게 되는데

소음이라고 인식 못하는 와중에 스트레스가 되서 확~터져버리는 상태를 만들기도 한다.

의미없는 소리는 인간이 스트레스로 여긴다.

말싸움, 냉장고나 시계의 기계음같은 무의미한 영양가없는 소리.

드라이기의 소리도 주의하라고 하니 어쩐지 청소기는 더 심한 문제를 일으킬것 같기도 했다.

직업별로 음악도 다르고 신생아도 음악을 좋아하고 인간은 음악을 들으면 춤을 저절로 추게 된다니..

음악이 뇌발달과 성적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악기를 연주하면서 시공간 추리력의 신경세포가 발달해 뇌를 발달시킨다.

질병을 이겨내고 통증을 견디게 하며 우울감을 개선시킨다고 한다.

음악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 위주로 설명을 하고 있다.

좋은 목소리를 만들기 위한 5일동안의 연습.. 날짜는 짧지만 하루에 허밍을 5분간..

잠깐 해봤는데 금방 하기 싫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내가 노래하는 것도 싫어하기 때문인가보다. 흥얼거리면서 노래하는 것을 좋아한다면 해볼만 하겠다.

골전도 이어폰처럼 허밍이 공명을 일으켜서 좋단다.

자기에게 맞는 음악찾기가 있는데 질문을 통해서 찾는다. 난 역시.. 대답할 것이 없어서 못 찾았다.

소리는 의식하지 않아도 내게 영향을 미치므로 어떤 소리가 나는 곳에서 생활하는지가 중요하다.

이어폰을 끼려면 좋은 이어폰을 사야겠다.

내 경우에도 사운드가 좋은 스피커에 민감한 편이다. 음악에 조예가 깊은 것도 아니고 음치에 음의 높낮이도 구별하지 못해서 키타조율하느라고 애를 먹지만 소리가 좋은 스피커에서 나는 것과 아닌것은 확실히 다르다.

자신에게 맞는 음악을 찾고 저자가 추천한 사이트의 공짜 음악들도 실컷 즐겨볼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