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이 행복해야 인간이 건강하다 - 가축사육, 공장과 농장 사이의 딜레마
박상표 지음 / 개마고원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채식을 하자고 권하는 책이 아니다.

어떤 삶의 방식으로 살 것인가를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다.

이런류의 책을 읽고 이효리는 채식주의자가 되었다나? 비슷한 내용으로 기억한다.

나 역시 과거에 공장식 축산업과 육식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

항생제와 호르몬제로 점철된 육식과 육가공식품의 문제점에 대한 책을 읽고

일년 반정도 채식을 한 적이 있었다.

그 때의 충격으로 내 나름대로는 꽤 오래 채식을 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 충격은 다시 고기맛에 점점 잊혀져가고

다시 전과 같은 채식의 상태로 돌아가려고 무던히도 애쓰고

책을 읽고 충격을 받아보려 하지만

전만 못한 충격으로 실천이 어렵다.

이 책은 내가 읽었던 내용에 우리나라의 실정과 정책을 더했다.

애릭 슐로서의 패스트 푸드 제국이라던지

베스킨라빈스의 후계자였으나 모든것을 버리고 채식을 선택하여

동물과 환경을 위해 활동하고 저서를 여러권 출간한 존 로빈스의 책 등등은

외국의 서적이라서 우리나라 내용은 없다.

잘먹고 잘살기같은 책은 우리나라 PD가 쓴 책이고

옥수수의 습격도 마찬가지라서 우리나라의 실정에 대해 나와 있기는 하지만

이 책은 그런 부분에 정책의 변화까지 더해졌다.

서론, 본론, 결론을 갖고 있는 것 처럼 보였다.

처음에는 각 축산물이 되는 동물의 사육 형태에 대해 알려주고

중간 부분에는 본격적으로 대규모 식품회사가 이익을 얻는 방법이나

왜 그렇게 사육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밖에 없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도축방법이 이윤을 위해 발생하는 행위임을 말한다.

작은 우리에 가두어 기르고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빠르게 성장하고 고기를 더 많이 얻기위해 선택한 방법이

인간에게 미치는 악영향에 대해 말한다.

항생제 남용으로 인해서 발생한 슈퍼바이러스

조류독감, 돼지의 구제역, 광우병, 인간광우병.. 치명적인 식중독

그리고 비만까지

저자의 의견은 마지막부분에 거의 다 수록되어 있다.

뒷부분만 읽어도 충분히 알만하지만 중간부분의 각종 사실들을 읽고 나면 단번에 이해가 된다.

그리고 뒤에서 덧붙인 어떤 방식으로 사육하고

소비자의 행동과 선택을 제안한다.

유기농이라고 해서 도시가 아닌 농촌에 산다고 해서 더 건강하고 깨끗하고

좋은 환경과 채소를 먹는 것은 아니다.

나 역시 농촌에서 자라고 지하수를 먹고 지금으로 말하면 로컬푸드를 먹었지만

나는 희귀난치병에 걸렸다. 그리고 우리 동네에서 그런식으로 오랫동안 살아온 사람중

150m앞에 슈퍼아저씨 설암, 옆집 아저씨도 무슨 암, 길건너 친구 아버지 간암

옆집에 시집온 언니는 골암, 난 자가면역질환 , 길 건너 학생은 루프스..

대체 어쩔것인가? 우리 동네에 무슨 일이?

어릴 때 양계장도 있엇고 동네는 젖소농가들이 많았다.

양계장의 분뇨는 비오면 냇가를 따라 흘렀고

소들은 시큼한 냄새를 풍겼다..

논밭에는 봄철이면 농약병이 뒹굴고 농약이 하얗게 길 위에 있었다.

고추에는 최소 7회 이상의 농약을 치고 대충 씻어 먹는 오이는 엄청난 농약을 필요로 한다.

저자는 이런부분을 꼬집고 있다.

농약의 사용이 채식도 안전하지 못하다는 것을.

그리고 우리나라는 땅이 좁아서 오염이 더 잘 된다.

패스트푸드와 외식을 줄이고 육식으 조금 덜 하는 것이 건강하고

환경을 지키며 비만과 그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길이 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