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이 행복해지는 긍정의 심리학
로버드 D. 아이셋 지음, 이문영 옮김 / 소울메이트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저자는 행복은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조절하면서 느끼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일어난 일, 상황을 받아들이는 생각이 형성되어 감정이라는 것으로 연결되어

그로 인해서 느끼고 행복하다 아니다를 결정짓는다고 한다.

이러한 것도 학습되어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행복해지는 것도 학습을 통해서 얻는다.

 

각 챕터의 마지막에는 문제풀이(?)가 등장한다.

읽은 내용을 건성으로 읽지 못하게 한다.

꼭 문제를 풀고 넘어가라고 했는데, 그 말 때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다시 앞으로 넘어가서 읽고 와서 답을 했다. ㅡㅡ; 공부?

 

맨 뒷부분에 개인 평가 양식이 있는데 한개의 도표로 되어있다.

내 경우엔 책을 읽고 난 후에 조금의 변화를 얻게 되었다.

어쩌면 저자가 말하는 대로 오랬동안 실행하고 난 후엔 더 큰 변화를 겪을 수 있을 지도 모르겠다.

 

감정을 상황과 연결지어 말하는것, 또는 그렇게 여기거나 생각하는 것은

어른들에 의해서 우리에게 학습되어 진것으로

어릴 때 느끼는 감정과 그 감정은 인정하고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으로 인해서 성인기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내가 어떤 이상적인 친구를 바라는 모습을 작성하는 것은

바로 내가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는 것이고

이 모습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슷한 경향을 갖고 있다고 한다.

 

감정이 생각에서 기인하고

어떤 종류의 생각을 하느냐가 긍정과 부정으로 표현되고

행복을 가끔씩 느끼는 것은 행복의 근원이 성과라던지 타인을 존중하는 대체물에서는 올수 없다.

 

행복을 느끼기 위해서는 평생 노력하는 것(?)

어느것 하나 쉽게 되는 것이 없는 것 같다.

자존감을 갖으라고 하는데 내겐 좀 어려운 일이었고

가치있는 일에 투자한다고 하는데 내 자신이 가치있다고 여겨야 나에게 무엇이든 할텐데

아직 정립이 잘 안된다. 왜 생명이 소중한 것인지 왜 사는 것이 가치있고 자존감을 어떻게 할지..

저자의 방식으로는 나에겐 좀 무리가 있다.

 

저자는 여러가지 실제에서 사용될 방법을 끊임없이 제안하고 있고

그것들이 효과적이라고 하지만 난 100중에서 15정도의 마음만 흔들릴뿐이었다.

 

기본원칙 11에서는 저자의 모든 얘기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너무 잔소리처럼 구어체로 말하는 통에 정신이 없어서

오히려 그런 잔소리와 반복되는 말들은 건너뛰면서 읽는게 나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