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브레이킹 - 가슴 떨리는 도전
조일훈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표지에 이렇게 적혀있다.
 
 새로운 생각, 새로운 시도의 출발은 언제나 개인의 몫이며 그 결실은 자신에게 돌아간다. 그것이 성취와 보람일 수도 있고 명예나 금전적 보상일 수도 있다. 자신 앞에 놓여 있는 장애물들을 뛰어넘어 스스로 넷 브레이킹의 중심에 서면 앞날에 대한 불안 대신 내 삶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용기와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그 동안 준비해왔고 그렇게 바라고 있던 기회가 온 것을 알고 시도하였다. 물론 회사의 분위기도 알고 있고, 상사와 임원의 특성도 알고 있다. 하지만 도전 없이는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없다고 생각하였고, 이 책을 통해 그 부분에 대해서 더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었고, 그리고 나를 도전을 시도하게 이끌었다.
 경직되고, 안정을 추구하는 분위기 속에서는 지내고 있던 다른 사람과 달리 아니 이전에는 나도 그들과 같았다. 하지만 나는 다른 분야에서 일을 해보고 싶었다. 단 회사라는 울타리를 벗어나고 싶지는 않았다. 아직까지 그 이상의 도전은 너무 위험이 크다고 생각했다. 하기에 나에게 있어 최선이었던 사내에서의 부서 이동은 그렇게 이 책을 통해서 동기부여를 받고 시도되었다. 결과는 팀장과의 관계만 악화되며 나는 언제라도 기회만 있으면 다른 곳으로 떠나 갈 녀석으로 찍히게 되었다. 그 동안의 나의 준비와 노력은 내 생각으로는 완고하게 팀만을 생각하는 팀장에 의해 무시당한 것이다. 나의 입장과 회사의 입장에서는 옮겨주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였지만 현실은 언제나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것을 다시금 알게 되었다. 게다가 책에도 잠깐 회사에 대한 좋지 않게 언급되어 있기에 슬프게도 고객을 끄덕일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난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얻었고, 계속 준비하고 다시 도전할 수 있도록 나를 달굼질 할 것이다.

 책을 읽다 보니 결국 복잡계 이론을 바탕으로 한 좀 특이한 자기계발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네트워크에는 항상 불균형이 존재하며 그 불균형이 깨지는 순간에 변화가 일어나고 새로운 질서가 태동한다"고 세상을 분석하는 기본적인 시각이 책의 전반적인 내용을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중간에 우리가 쉽게 간과하는 문제들을 인식시키고 이에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단단하게 얽히고 설켜있는 기존의 인맥, 학연, 혈연으로 이루어져있고, 점점 더 견고해지고 단단하지는 그 네트워크의 관계를 깨는 것은 점차 더 힘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도 부인할 수 없는 성공조건은 있다고 한다. 바로 문제해결 능력이다. 개인이든, 소조직이든, 아니면 더 큰 기업이나 국가든 이 능력을 갖추지 않고서는 결코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많은 공부와 전략이 필요하고, 세상이 어디로 흘러가는지, 미래가 어던 모습으로 다가올지에 대해 진지한 탐색과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한다. 추가로 실행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한다.

 다른 자기계발서와 같다고 생각하면 거기서 행동이나 생각이 멈추게 될 것이다. 세상이 자신을 필요로 한다는 신념을 갖고 끊임없이 힘차게 부딪쳐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