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여행을 위한 최소한의 물리학 - 세계적인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알려주는 시간에 대한 10가지 이야기
콜린 스튜어트 지음, 김노경 옮김, 지웅배 감수 / 미래의창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별의 목소리✨’에서 주인공은 우주여행을 떠난 동급생과 모바일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둘 사이 거리가 멀어질수록 메시지 수신까지 걸리는 시간은 일주일에서 한 달, 일 년까지 늘어난다. 우주에서의 시간과 지구에서의 시간은 다른 걸까. 막상 고민해보니 시간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웠다.


📖 

"빛은 초당 거의 30만 km의 놀라운 속도로 우주를 가로질러 날아간다. (…) 우리와 가장 가까운 천체인 달은 지구에서 38만 4,400km 떨어져 있다. 빛이 이 거리를 이동하는 데는 1.3초가 걸린다. (…) 우리는 지금, 이 순간의 달을 볼 수 없고, 달에서 빛이 떠난 시점인 1.3초 전의 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빛이 이동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것은 ‘지금’이라는 개념을 일관적으로 정의할 수 없다는 뜻이다. 우리는 항상 과거만 볼 수 있을 뿐 ‘현재’는 절대 볼 수 없다."


<시간여행을 위한 최소한의 물리학>은 시간에 대한 10가지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저자인 콜린 스튜어트는 과학 대중화에 힘쓴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저자의 직업에서 알 수 있듯 그는 물리학에 낯선 이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상적인 개념을 빌려 ‘시간’을 설명한다.


그와 함께 인간이 처음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 때로 돌아가 현대 물리학 연구의 최전선까지 걸어보자. 이 여정이 끝날 때쯤엔 자신만의 언어로 ‘시간’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