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토리아 대논쟁 1 - 도덕 & 지식인 히스토리아 대논쟁 1
박홍순 글.그림 / 서해문집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만만치 않다.

 

고대 그리스 철학의 거장 두 사람이 좌석한다.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이다. 서로의 이론에 상당한 반감을 가지고 있는 두 사람은 ‘안다는 것’과 ‘실천한다는 것’에 대한 대논쟁을 벌인다. 두 번째 논쟁의 주인공은 샤르트르와 리오타르이다. 이들은 지식인이란 무엇이며 지식인은 보편적이 주체의 역할을 할 수 있는가? 를 놓고 논쟁한다. 고대철학의 대표주자 두 사람과 현대철학의 대표주자 두 사람을 오늘 이 자리에 모이게 한 것은 ‘지식’과 ‘지식인’에 대한 논쟁을 벌이기 위해서이다.

 

소크라테스 철학의 기본은 지행합일이다. 지식과 행동, 이론과 실천을 분리하지 않았다. 어떤 행위를 할 때 무엇 때문에 그 일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확실하고도 분명한 인식을 갖지 않으면 그 행위를 할 수 없다고 보았다. 지식과 실천을 하나로 본 것이다. 따라서 알고서도 행하지 않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주의주의자다. ‘의지’가 지성보다 우위에 있다고 본다. 덕은 단순히 지식을 통해 성취되는 것이 아니고 선한 행위를 실천하고자 하는 “선의지”. 즉 실천의지의 중요성이다. 극단적으로 말한다면 안다는 것이 행동하는 것이라고 본 소크라테스에 대한 반발이라고 볼 수 있다. 혹자들은 소크라테스철학을 발전시킨 것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이 책을 읽다보면 이 부분에 있어서 소크라테스는 상당한 민감하게 반응한다.

 

소크라테스가 이처럼 민감한 이유를 나는 그들이 국가에 대한 법을 이해는 차원에서 해석해봤다. 아니, 좀 더 구체적으로 죽음을 맞이했던 입장일지도 모른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철학에 맞게 죽음을 맞는다. 물론, 아리스토텔레스도 마찬가지다. 소크라테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끝나고 그의 이론과 산파술이 젊은이들에게 악영향을 미친다며 ‘신에 대한 불경죄’로 고발당한다. 그는 “사람들이 진정한 덕을 갖고 있지 않은데도 가지고 있는 양 착각하는데 단지 지혜와 진리, 영혼의 향상을 위해 힘쓰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덕일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진정으로 이를 안다는 것은 이를 실행할 의지도 함께 갖고 있을 때.” 라며 “내가 동의한 그 법에 따라 이 국가에서 한평생을 살아왔기에 중요한 순간에도 이를 어길 수 없다는 이유”로 사형을 받아들인다.

 

그런가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관계가 깊다는 것과 일치한다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라며 안다는 것과 실천하는 것에는 간극이 존재하는데 이를 메울 수 있는 것은 ‘선의지’라고 말한다. 선의지는 알고 있는 것을 실천하는 것으로 실행의 문제에서 어떻게 해야 덕이 실현될 수 있는가 하는 방법론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한다.

여기서 잠깐, 아리스토텔레스의 죽음을 말하기에 앞서 죽음의 배경을 설명하자면 이렇다. 그가 태어났던 BC 384년은 스파르타가 아테네를 지배했던 시기로 당시 그리스 세계를 지배했던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왕 때이다. 필리포스왕은 아리스토텔레스를 자신의 어린 아들인 알렉산드로스의 개인교육을 담당하게 한다. 아테네시민들은 알렉산드로스가 아테네를 점령하면서 자유를 박탈당했다고 생각했으며 알렉산드로스가 죽었을 때 그와 각별한 사이였던 아리스토텔레스를 ‘신에 대한 불경죄’로 고소한다. 소크라테스의 사례를 보았을 때 사형을 예상했던 아리스토텔레스는 소크라테스처럼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는 아테네 시민들이 철학에 두 번씩이나 죄를 짓지 못하도록 한다는 이유를 들며 도주한다. 그의 철학대로 얘기하자면 ‘선의지’가 안다는 것과 실천하는 것에 대한 간극을 메우지 못한 격이 되는 것인가? 나의 얄팍한 지식으로는 쉽게 단정 지을 수 없는 대목이다.

 

극단적이긴 하지만 이것이 바로 안다는 것이 덕이라고 생각했던 소크라테스와 덕은 별도의 선의자가 필요하다고 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차이라고 말한다면 극히 단말마적일진 모르겠으나 난 그렇게 이해했다.

 

그렇다면 지식인에 대한 논쟁을 벌인 ‘사르트르’와 ‘리오타르’는 어떠한가?

 

사르트르(1905~1980)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20세기 사상가이다. 문학가로서 일생 동안 기존의 지배계급을 비판하고 고발하면서 참된 지식인이 되고자 노력했으며 지식인은 고독한 민주주의의 옹호자로서 실천하는 지식인상을 주장한다. 진정한 실존의 문제는 사회와의 교감에서 기초해야하며 나가서는 실천적인 성격을 띠어야 한다고 말한다. 자신만의 안위를 위해 일하지 않고 사회와 민중을 위해 일하는 것. 이것이 사르트르가 말하는 지식인인 것이다.

 

리오타르(1924~1998)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선두주자로 앞서 얘기한 사르트르가 지식인을 선구자로 봤다면 리오타르는 지식인의 종언을 주장하며 다양한 사회에서 하나의 이론적 틀로 해명하려는 기존의 거대이론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보이면서 지식인의 역할은 이제 대중이 스스로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탈중심적 사고, 탈이성적 사고를 가장 큰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는 일률적인 것인 거부하고 다양성을 주장했으며, 칸트가 ‘순수이성이 만들어낸 산물’이라 했던 이념의 실현을 불가능하다고 주장함으로 정치철학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어떤 이는 철학의 새 천년이 1968년 프랑스 ‘68혁명’에서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정재영’쌤은 ‘우리가 근대라고 부르는 역사의 한 시대가 마감되었다는 사인’을 즉 포스트모더니티의 새 시대의 징후를 1968년 파리의 낭테르대학 운동장에서 찾은 것이다.

‘68혁명’은 이전의 사회운동 또는 사회 혁명과 달리 그 주장이 선명하지 않다. 시위에 등장한 구호가 어지럽고 산만하다. ‘우리는 그 무엇도 주장하지 않는다. 우리는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는다. 우리는 단지 점거한다.’, ‘지루함은 반혁명이다.’, ‘상상력에 권력을’, ‘행복은 살 수 없다. 그것을 훔쳐라.’, ‘금지하는 것을 금지하라’, ‘행복이야말로 새로운 이념이다.’ 이것이 ‘68 시위에 등장했던 구호들이다. 시위대는 낡는 세계에 대한 ’이의 제기‘의 표시로 돌멩이를 던졌다는 것이다. 이를 대표하는 철학자가 바로 오늘 이 토론장에 나타난 리오타르이다.

 

이들의 대논쟁에 휩쓸리면서 나의 얇은 귀는 더욱 얇아졌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선의지가 옳은 것이라 생각했으나 소크라테스의 철학은 개인주의적이고 얄팍한 이기주의에 사로잡힌 우리에게 많은 배울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사르트르가 말한 지식인에 대한 생각이 옳다고 생각했으나 리오타르의 주장 또한 우리 스스로의 힘과 내가 든 돌멩이라는 좀 더 실천적 생각에 적극성을 주었다는 점에서 이번 대논쟁은 나의 생각을 뒤집어 놓았다고 볼 수 있다. 철학은 씹을수록 그 맛이 달콤 쌉싸래하여 나의 오감을 자극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