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읽기 세창명저산책 103
곽영직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인슈타인이 “사랑하는 하느님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라는 유명한 말을 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보어, 하이젠베르크 등 과학자들 몇 명이 모여서 며칠간 토론을 하던 도중에 양자 역할을 부정하며 한 이야기입니다. 보어가 그 말에 대한 반박으로 “우리는 하느님에게 세상을 어떻게 다스려야 한다고 지시할 수 없다.”라고 하지요. 그러면서 아인슈타인이 없을 때에 어떤 물리학자가 문제 제기를 합니다. 아인슈타인은 툭하면 사랑하는 하느님이라고 이야기하는데 과학자가 종교적인 전통에 기대어도 되는 것이냐구요. 그 질문에 또 다른 물리학자는 과학자가 종교이야기를 끌어들이는 것은 아인슈타인보다 플랑크가 더 심하다고 합니다. 그 말에 하이젠베르트가 계속 답을 이어나갑니다. 플랑크가 종교와 과학이 전혀 다른 영역에 관여하기 때문에 조화를 이룰수 있다고 생각한다구요. 자연과학은 객관적인 물질세계를 다루기 때문에 맞냐 틀리냐가 문제가 되지만, 종교는 가치의 세계를 다루기 때문에 선이냐 악이냐가 문제가 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 말에 과학자 파울리가 동의하고, 디랙이 터무니 없는 소리들을 한다고, 신은 없다라고 주장을 하는 와중에 파울리가 농담을 합니다. 드디어 디랙이 종교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신은 없다.” 라는 종교입니다. 라고 이야기를 해서 모여있는 사람들이 모두 웃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는 양자역학을 연구하던 물리학자들의 에피소드를 살짝 소개한 것인데요, 이 짧은 내용만으로도 우리가 과학자에 대해 갖고 있는 선입견과는 약간 다른 느낌을 받게 됩니다. 과학자들이 실험만 하지 않고, 토론을 굉장히 많이 하는구나. 그리고 종교와도 관련을 지어 이야기를 하는것을 보게 됩니다. 고대에는 수학자가 철학자고 정치가였지요. 그게 아주 먼 옛날 이야기가 아니라 20세기 초중반까지도 그런 분위기가 어느정도 이어지고 있는 듯 했습니다. 유럽의 과학자들은 과학을 철학적인 문제에 기반을 두고 서로 토론을 하며 결론을 얻어내려고 노력했던 반면, 미국의 실용주의가 힘을 얻게 되면서 우리가 생각하듯 과학이 결과 중심으로 그 형태가 달리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양자역학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책들은 물리학에 대한 이야기에만 치중하는데 반해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는 양자역학을 발표하는 과정에서 과학자들 사이의 대화와 토론의 과정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문학적인 가치도 가지게 되어 일반인들에게도 많이 읽히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양자역학에 대한 책읽기를 세창 명저산책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읽기를 통해 입문 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명저산책들과 마찬가지로 물리학을 전공한 교수님께서 중고생 일반인들이 읽어도 무리가 없게 만들어주신 고전 해설서입니다.

책 제목이 왜 부분과 전체일까요? 부분과 전체 원본에는 딱히 언급이 없습니다. 세창미디어의 «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 읽기 »에서 부분은 개개의 과학적 사실이고, 전체는 부분의 연결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처음에는 개인주의과 구조조의를 염두에 두고 책을 봤습니다. 책의 마지막 페이지에서도 2차 대전 이후 요즘 미국 젊은이들은 개별적인 일에만 신경쓴다며 끝을 맺는 것을 보며 그런 의미가 아닌가 생각했지요. 그러면 이 책이 과학책인가, 사회학 책인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을 해보게 되더라구요. 시험 치는것도 아니고, 각자 이해하는 만큼 받아들이는거라 내 나름의 이야기를 풀고 싶어서 양자역학에 대해 주위에 물어보고 알아보았습니다. 뉴턴의 지동설처럼 우주와 지구, 거시 세계를 연구하는 고전물리학과는 달리 현대물리학은 원자와 전자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입자들을 이야기하는 미시 물리학임을 빚대어 하이젠베르크는 『부분과 전체』라고 제목을 지었다고 합니다.

제가 자화상自花像이라는 제목으로 2019년에 사진집도 만들고 개인전을 한 적이 있는데요, 그 때 하고자 했던 이야기와 저는 연결이 되었습니다. 개개인이 다 다른 역사와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데 무심하게 겉만 대충 보고 ‘~겠거니, ~카더라’ 식의 판단을 함부로 하지 말아주세요 하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런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인식을 벗어나 다르게 바라보는 시선을 제시하고자 식물의 세계를 미시적 시선으로 들여다보았습니다. 또 다른 시선으로 들여다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그런 식물의 모습과는 달리 그 속에 품고 있는 새로운 세상이 보이거든요.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가 물리학을 통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의 아주 작은 단위인 원자와 전자- 쿼크의 세계를 이야기 하고자 했다면, 겉이 아니라 개인의 내면성을 들여다보자고 했던 내 사진 이야기로도 이 책을 풀 수 있는거 아닌가 싶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