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빨리 감기로 보는 사람들 - 가성비의 시대가 불러온 콘텐츠 트렌드의 거대한 변화
이나다 도요시 지음, 황미숙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이나다 도요시는 요즘 젊은세대들이 영화를 빨리감기로 보는 것에 주목해 이점을 심층 분석한다. 일본 젊은 세대까지 갈 것없이 나 역시도 넷플릭스를 볼 때 10초 건너뛰기를 자주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이게 어떤 사회 트렌드인지 궁금해서 이 책을 읽어 보았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게 된 첫번째 이유는 지금은 역사상 봐야 할 작품이 넘쳐나는 시대이기 때문이다. 구독서비스로 인해 우리는 예전보다 더 낮은 금액을 내고도 볼 수 있는 영화가 무한대로 늘어났다. 이런 압박속에서 영화는 이제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소비의 대상으로 되었다. 그래서 우리는 시간에서의 가성비를 따지게 된다. 한정된 시간속에서 이 작품이 진짜 원속도로 감상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 파악이 먼저이다. 집중해야 할 장면이라면 몰입해서 보지만, 배경설명이나 대화가 없는 상황, 내가 관심없는 인물이야기가 있을 때 우리는 속도를 조절할 기능이 있으니 이 부분을 관리해서 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만드는 사람은 그런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 배경설명이나 대화가 없더라고 여백이 주는 연출, 주변인물들의 이야기 모두 공들여서 만들고 있지만 이 부분에 대한 선택은 소비자에게 넘어간 상황이다.

보기 싫으면 안 보면 되지 굳이 빨리 감아가면서 소리가 왜곡되면서까지 이 영화를 봐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또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생각해서 집단에서 소외되고 싶지는 않기 때문이다. 사람들과의 대화에서 소외되지 않지만, 그 많은 영화를 다 보지는 못하므로 빨리 보거나 혹은 하이라이트를 요약해주는 콘텐츠로 대신 보는 것이다. 

정말 새로운 콘텐츠 소비의 시대다. OTT서비스가 만들어내는 트렌드이고, 이거는 거스를수 없을 것 같다. 그렇다면 이제 영상을 만드는 사람도 이런 상황을 알고 그에 맞는 영상을 제작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