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주지 않는 대화 - 갈등을 해결하고 관계를 회복하는 비폭력대화의 기술
마셜 B. 로젠버그 & 가브리엘레 자일스 지음, 강영옥 옮김 / 파우제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오디오클립 한주한책 서평단 로사입니다.

자칼의 언어 - 기린의 언어.
관찰,감정,욕구,부탁
정적인 언어(규정짓거나 판단을 하는 것) - 과정의 언어
내면의 재판관 - 내면의 결정자

비폭력 대화를 이해하는데에 기본이 되는 개념들을 설명하고있는 1,2장을 지나 챕터 3에서는 비폭력 대화의 핵심이 되는 '공감'에 대해 심도있게 다룬다.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공감'의 의미와는 다르게 저자는 인간이 타인에게 줄 수 있는 가장 값진 선물인 '공감'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현재'라고 한다.
공감은 내 감정이 아닌 타인의 감정에 들어가는 것으로 지식적인 이해나 동정심, 동의와 혼동해서는 안되며 진정한 공감을 위해서는 현재 상대방에게 흐르는 신성한 에너지(살아있는 것, 삶과 가까운 추상의 개념)에만 관심을 두라는 것이다.

이 책에는 저자가 새롭게 정의하는 개념들이 많이 등장하다보니 기존에 내가 갖고있던 단어의 의미와 상충하는 부분이 있어 중간에 몇 번쯤은 매끄럽게 읽히지가 않았다. 번역의 문제인 것인지, 독일어의 수사가 낯설어서인지는 모르겠다. 가장 인상적이고 현실로 명확하게 와닿는 부분은 아이와의 대화를 다룬 5장이었다.

아이들은 예상 외로 '기린의 언어'를 쉽게 습득한다고 한다. 자칼의 사고에 길들여진 사람일수록 비폭력 대화를 실천하기 어려운데, 어쩌면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기린의 언어를 자라면서 어른들의 자칼의 언어를 배우며 잃게되는 것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책에 소개된 학교가기 싫은 아이와 학부모의 대화(역할극)을 보며 내가 의식없이 사용하는 표현들이 대부분 자칼의 언어임을 깨닫게 되었다. 그 대화 중 중요한 포인트를 기록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 부모는 절대 성급하게 답을 찾으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 오로지 아이의 마음 안에 살아있는 것, 그것에만 집중하고 현재의 상태에 머무르며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조언을 하기 전에는 신중을 기하기 위해 머릿속으로 100까지 숫자를 세십시오. 그리고 자녀에게 답을 들을 생각이 있는지 먼저 물어봐야 합니다.
- 부모와 자녀가 공감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모든 문제는 시간이 해결해 줄 것입니다.

저자는 선과 악을 가르는 '정적인 언어'를 지양하고 '삶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진실성있는 일이라고 말한다. '정적인 언어'라는 번역 표현 역시 어쩐지 의미를 명확하게 드러내지 못하는 느낌이어서 이에 대한 개념 정리를 중간중간 해야했다. 아무래도 '동적인'의 반대 의미가 먼저 떠오르기 때문이다. 저자가 지양하라는 '정적인 언어'를 단정의 언어, 판단의 언어로 표현해도 무방하지않을까. 판단이 개입된 언어보다는 자연상태의 내츄럴한 관찰과 공감이 담긴 '삶의 언어'가 더 중요하다는 것에는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않을 것이다.

우리는 정말 어떻게 슬퍼해야 할까요? 슬퍼하려면 진심으로 삶을 사랑해야 합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이 삶에 도움을 줄 수 없을 때 깊은 슬픔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삶을 긍정하는 신성한 에너지와 연결되어 있는데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면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우리에게는 연민의 마음으로 서로를 마주하고 공감할 때 생기는 신성한 에너지가 있습니다. 이 에너지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며 언제든지 무언가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시에 이 잠재력에는 막대한 책임이 수반되어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이 신성한 에너지의 일부이자 그 자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으면 우리 모두 하나가 됩니다.
이 책의 첫 장에 제시된 '비폭력'과 '비폭력 대화'의 정의는(맨 위 사진) 인간이라는 존재에 희망을 갖게한다.
비폭력 대화는 '연민'의 마음에서 시작하는 대화라는 것이다. 나 역시 인간 자체, 살아있는 존재, 현재에 대한 '연민'의 감정을 느낀 이 후 많은 사람들과 상황들을 이해하게되었기에 존재에 대한 '연민'에서 시작하는 대화가 진실된 공감에 닿는 길임을 익히 알고 있다. 이 사실을 모든 사람들이 알고, 느끼고, 깨닫는다면 누구도 '자칼의 언어'를 쓰지않는 상처 없는 세상이 되겠지. 그게 곧 유토피아 아닐까. '변혁의 영성'으로 이러한 인간에 대한 연민과 삶을 사랑하는 마음을 전파한다면 조금씩이나마 세상을 바꿔나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전반적으로 '비폭력 대화'에 관련된 여러 개념을 정리할 수 있어 좋았으나 종교적인 표현과 혼동이 되는 단어,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수사가 이따금씩 있어 읽다가 흐름이 끊기기도 했다. 그런 점에서 다소 아쉬움이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