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길 자본론 - 사람과 돈이 모이는 도시는 어떻게 디자인되는가
모종린 지음 / 다산3.0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간 전 카카오 브런치에 연재되며 많은 독자들의 관심을 끌었던 저자의 글이 책으로 엮여 나왔다.
390 페이지 정도의 두꺼운 책임에도 신선한 디자인으로 편집되어있어 부담없이 책에 접근할 수 있다. 표지도 산뜻한 배색에 글자의 배치가 눈길을 끄는데, 책 안에는 아주 예쁜 색상으로 (아마도) 보정된 사진들이 적절하게 담겨있기도 해 지루할 틈이 없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유행어처럼 많이 언급될 때가 있었다.
알쓸신잡1에서 작가 김영하 씨가 언급한 적도 있었던 것 같은데, 이 책에서는 압구정동과 삼청동 등의 상권이 죽어가는 현상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거의 20여년간 삼청동의 변화를 가까이에서 살펴보면서 아기자기했던 골목상권이 어떻게 무너지는지, 그 과정을 본의 아니게 잘 알게되었는데... 이 책에서는 골목상권이 생겨나 사라져가는 과정에 대해 여러 사례를 통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저자의 취재력은 놀라울 정도이다. 국내 곳곳의 골목길 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의 골목길의 흥망성쇠를 두루 다루고 있다. 그것도 문화 뿐만 아니라 시대에 따른 변화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기록해 감탄을 자아낸다. 골목 상권에 대한 마케팅 관련 책이라 생각하고 책장을 넘긴 독자들은 저자의 취재력과 연구 성과, 개인적인 경험을 총동원한 이 책의 깊이와 넓이에 놀랄 만 하다.

어떤 면에서 이 책은 다루고있는 골목길이 만들어진 스토리를 담은 여행서로도 충분한 기능을 할 것 같다.
실제로 읽으면서 '여기에 꼭 가봐야지.' 생각하며 체크해 두기도 했다.

최근에 연희동을 자주 갈 기회가 있었는데, 사러가 쇼핑센터 1층에 있는 마켓에 갈 때마다 미국의 '홀푸드마켓'이 떠올랐었다. 그렇게 느낀 것이 나뿐만이 아니었다는 사실에 반가웠다. 이 챕터를 읽으면서 홀푸드마켓이 아마존에 넘어가게된 과정과 배경을 새롭게 알게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샌프란시스코나 시애틀, 뉴욕, 도쿄 등 세계 곳곳의 골목상권의 생성과 성장에 대해서도 이해하게 되었다.

골목상권의 경쟁력은 C-READI로 요약할 수 있다. 문화 인프라culture, 임대료rent,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접근성access, 도시 디자인design, 정체성identity 등 여섯 가지 조건을 만족한 골목이 성공한 상권에서 발견되는 공통 요인이다. C-READI 모델은 기획자뿐만 아니라 소상공인이 자신이 속한 상권의 경쟁력을 스스로 진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소상공인이 자체적으로 상권 분석 능력을 갖춘다면 개인 사업체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것은 물론, 상권 전체의 이익에 대한 이해를 높여줄 것이다.

저자는 골목의 경쟁력이 곧 가게의 경쟁력이라고 말하며 왜 골목길에 경제학이 필요한지, 골목의 성공에 왜 정부가 필요한지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책을 읽고나면 경제학 다방면의 상식이 폭넓게 늘어날 뿐만 아니라, 지나치다 만나는 많은 골목길에 애정이 생기게 된다. '사람과 돈이 모이는 도시는 어떻게 디자인되는가'라는 부제만큼 사람과 돈이 모이는 곳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만큼, 또 다른 많은 호기심을 갖게 만드는 책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