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푸른숲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나 자신이길 좋아합니다. 자폐증은 나 자신의 한 부분입니다. 전부가 아닙니다.”


더이상 자폐아가 태어나지 않는 근미래,

출산하기 전 자폐증상을 판단하여 치료할 수 있게 된 미래 기술은 뇌의 구조적 결함을 치료하여 성인에게도 ‘정상화 수술’이 가능해진다.

자폐인들이 안정될 수 있는 최선의 복지가 지원되는 회사에 다니던 주인공 루와 친구들은 이 ‘정상화 수술’이 강요되는 상황에 놓여진다. 


있는 그대로인 자신으로 남을지, 정상인화 되는 치료를 받을지. 

이 책을 읽기 전의 나였다면, 내 자식이 자폐증이 있었다면, 일말의 고민 없이 치료를 택했을 것이다.

아이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정상작동은 세탁기한테나 쓰는 말이야.”


주인공 루의 시선은 매우 따뜻하고 섬세하면서 때론 날카롭고 정의롭다.

단조로운 일상의 단편 속에서도 그는 유머를 발견해내고 그 안에서 기뻐한다. 

그의 시선을 따라 세상을 바라보다보면 이런 생각이 든다.

‘대체 정상의 범위는 뭘까.’

루 애런데일은 부모에게서, 또 책에서 정상인으로서 해야하는 행동과 반응을 배웠고 배운대로 생활해낸다.

그런 그에게 ‘정상’적인 능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은 매우 비도덕적이게 행동하며 자신의 열등함과 비열함을 쏟아낸다.

루는 그들을 이해하지 못하지만 분노하진 않으며, 무례한 태도에 이성적으로 반응하며 힘겨워한다.


이 책의 매력은 자폐인 루의 생각을 따라갈 수 있다는 점이다. 

매우 독특한 생각의 흐름은 몹시 현실적이어서 놀라울 정도인데, 이것은 작가가 자폐인 아이를 아들로 입양해 키웠기에 사랑으로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었기에 가능한 전개이지 않을까 싶다.


장애를 부족함이 아닌 다름으로 여기고 

다름에서 즐거움을 발견할 수 있는 사회가 되어

서로를 인정하고 환대하는 이웃이 되도록 안내해주는 글.


애정하는 소설이 될 것 같다.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작성한 솔직한 후기입니다.


#엘리자베스문 #어둠의속도 #잔류인구 #sf소설 #과학소설 #책스타그램 #장편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